지역간 입장차 반응 극명, 풀어야할 남은 숙제도 산적

▲ 인천시 서구 백석동 일원에 있는 수도권매립지

[일요경제=신관식 기자] 인천시민들이 그렇게 반대하고 나섰지만 2016년 말까지 사용하기로 했던 인천 수도권쓰레기 매립지를 서울시와 경기도가 10년간 더 사용하기로 했다.

인천시 서구 백석동에 약 1,660만㎡ 규모로 조성돼 있는 수도권매립지는 1992년부터 서울시의 쓰레기 반입을 시작했다. 당초 예정으로는 2016년 포화상태에 이르러 사용이 종료될 것 예측됐지만 1995년 쓰레기종량제 등으로 매립 물량이 크게 줄어 현재 매립지의 약 60% 정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인천시민들은 수도권매립지 반경 5㎞ 이내에 인천시민 70만명이 살고 있는 데다 이미 지난 20여 년 동안 악취와 비산먼지, 소음 등의 고통을 충분히 감수했다고 주장하며 사용연장에 반대해 왔다.

특히 최근 매립지 주변으로 청라신도시와 검단신도시 등이 들어서면서 아파트 주민들의 반발도 더욱 거셌다.

▲ 2년전 6월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수도권매립지 종료를 위해 인천시민 300여 명이 모여 서울시 규탄 집회를 갖고 있다.

하지만 기존 매립지의 사용기간을 연장하는 것 외에 다른 대안이 없는 현 상황에서 정부와 서울, 인천, 경기도 3개 시도가 `매립지 4자 협의체'를 구성하고 28일 제 8차 협의회에서 이런 결론을 내렸다.

협의회에서 유정복 인천시장, 박원순 서울시장, 남경필 경기도지사, 윤성규 환경부 장관 등 매립지 4자 협의체 기관장은 작년 12월 4자 협의체가 가동에 들어간 지 6개월 만에 인천 수도권매립지를 2025년까지 매립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합의하고, 포화상태에 이르기 전에 서울, 인천, 경기도 3개 시도는 각 지역에 대체 쓰레기매립지를 조성키로 했다.

대신 인천시는 상당한 경제적 실리를 얻을 수 있게 됐다. 서울시와 환경부가 나눠 가진 매립지 지분 100%를 넘겨받고 토지소유권 전체도 갖게 됐으며 환경부 산하 공기업인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도 산하 지방공기업으로 편입하게 됐다.

또 내년 1월부터 폐기물 반입수수료의 50%를 가산금으로 걷어 인천시 특별회계로 전입해 매립지 주변 환경 개선에 쓰기로 했다.

이 외에도 인천도시철도 1호선과 서울도시철도 7호선 연장 조기 착공, 검단 산업단지 환경산업 활성화 등에도 4자 협의체가 적극 협력기로 합의했다.

수도권 매립지 사용 10년 연장 소식이 전해지자 29일 누리꾼들은 거주 지역에 따라 찬반 의견이 엇갈렸다.

매립지를 빌려 이용하는 서울과 경기 지역 누리꾼들은 대체로 환영하는 반응을 보였다.

네이버 아이디 'some****'는 "일단 쓰레기 매립지 확보 문제가 타결돼 다행입니다"라고 반겼다.

다음 이용자 '3NE1'은 "서로 윈-윈 한 거지. 저거 성립 안 됐으면 서울시내 집집 마다 쓰레기 수거 안 해가서 악취 진동할 뻔했는데 다행이구만"이라고 안도했다.

아이디 'Lethe'도 "(인천) 시민의 입장에선 실리를 추구한 것으로 보고 환영할 일이다"라는 의견을 냈다.

반면 매립지가 위치한 인천 지역 누리꾼들은 서울·경기 쓰레기를 인천에서 처리하는 데 대해 반발하는 반응이 많았다.

다음 아이디 '쿨리오'는 "서울 입장에서는 쓰레기 대란을 피했는지 모르겠지만 인천시민 입장에서는? 인천시민들이 매립지 사용 연장에 대해 그렇게 반대했건만 결국 이거였군"이라고 반발했다.

네이버 이용자 'wlwl****'도 "서울시나 경기도, 땅도 넓으면서 인천 땅은 호구 핫바지 땅이냐? 매립지 도로 차단하고 데모해 봐야 정신 차리려나?"라고 힐난했다.

다음 누리꾼 '플라포트'는 "서울 쓰레기는 서울에, 인천 쓰레기는 인천에서 각각 처리해라. 왜 서울 쓰레기를 다른 지역에서 처리해야 되나?"라고 주장했다.

2016년 사용 종료는 시한부 기한 연장으로 대란은 피했지만 향후 10년은 매우 의미가 있다. 확보된 시간동안 쓰레기 양을 줄이고 환경개선의 노력과 매립 대체지 확보 등 숙제를 풀기에는 길지 않은 시간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