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류 82%, 화장품 69%, 농수산품 66% 등 중소기업 중국 의존도 높아

중국의 사드 경제 보복 전(위)과 후(아래) 비교 사진.

[일요경제=김민선 기자] 지난해 12월 상하이 롯데 중국 본부가 상하이시로부터 설립 이래 최대 규모의 세무조사를 받는 등 한국 기업들이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로 인한 중국의 보복을 당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중소기업들도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올해 1~2월 중국에 수출하는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중국의 보호무역조치에 대한 중소기업인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사드 배치 발표 이전에는 중소기업들 중 5.3%만이 보호무역조치를 경험했다고 답했으나 발표 이후에는 26%가 '그렇다'고 답했다.

중국이 관광과 수출, 콘텐츠 등에 집중적으로 경제적 보복을 가하고 있는 가운데 중소기업은 한·중 상호보완적인 부품과 소재 등을 수출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피해가 적을 것이란 관측이 있어 왔으나 현지에서는 중소기업들에 대한 중국의 보호무역주의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던 것.

13일 관세청과 중소기업청 등에 따르면 지난해 중소기업의 대(對) 중국 수출 가운데 반제품과 부품 등 중간재(61.5%), 설비류 등 자본재(23%)는 합쳐서 84.5%에 달하는 반면 소비재는 13.8%로 비중이 작았다.

총수출액 중 대 중국 수출 비중도 중소기업이 22.6%로 대기업 26.5%보다 3.9% 포인트 낮았다.

그러나 중국을 상대로 한 이들 중소기업들의 수출이 호실적을 기록하고 있어 이 시장마저 빼앗기면 안 된다는 시각이 팽배하다. 지난해 중소기업의 대 중국 수출은 225억 달러(약 26조 600억원)로 전년보다 1.9% 늘었다.

일부 중소기업은 중국에서 인기가 많은 일부 분야에서 중국 의존도가 높아 중국의 보호무역조치로 타격을 받을 것을 우려하고 있다.

중소기업 품목별 수출 비중은 패션 의류 분야의 중국 수출 비중이 81.7%, 화장품이 69.3%로 높았다. 이어 농수산품(65.7%), 생활용품(60.5%), 의약품(43.5%) 순으로 중국 의존도가 높았다.

이들 중소기업들은 중국을 주요 수출 대상국으로 여기고 있다. 작년 기준 세계 주요 지역별 중소기업 수출 비중은 중국이 22.6%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미국이 11.5%, 일본 9.7%, 유럽연합(EU) 5.1% 순으로 높았다.

이에 중소기업청은 중소기업들이 사드 경제 보복과 같은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수출시장 다변화 전략을 펼치고, 중국 대응 테스크포스(TF) 신설 및 피해 기업에 대한 지원액 확대 등을 고려하고 있다.

중소기업청은 국외 전시회 등을 통해 중소기업 수출시장 개척을 꾀하고, 이란·베트남·인도네시아·태국 등 전략시장국가에 기술교류센터를 신설해 신흥시장 진출의 교두보로 활용할 예정이다.

또 중국의 사드 경제 보복을 당하는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대응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겠다고 밝혔다.

중소기업청은 사드 사태로 피해를 입은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긴급경영안정자금 신청요건 상 ‘보호무역 피해기업’ 항목을 추가하고, 지원 예산을 현행 750억원에서 1250억원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