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회복 지속…가계부채·美 금리인상 등 대응 필요성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30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삼성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 참석해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30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삼성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 참석해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일요경제=심아란 기자] 한국은행은 30일 이주열 총재 주재로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기준금리를 기존 연 1.25%에서 1.50%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올린 것은 2011년 6월 3.00%에서 3.25%로 인상한 이후 6년 5개월 만에 처음이다. 이로써 지난해 6월 이후 1년 5개월간 지속돼온 사상 최저 수준을 벗어나게 됐다.

이주열 한은 총재가 지난 6월 통화정책 완화 정도 조정이 필요하다고 방향 전환을 예고한 지 5개월 만이다. 이번 금리 인상 배경에는 최근 경기 회복세가 확실하다는 자신감이 깔려있다.

한국 경제는 수출 급증에 힘입어 예상보다 훨씬 강한 성장세다.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1.4%(속보치)를 기록했고 10월 이후에도 수출 증가세는 견조하다.

이를 반영해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3.2%로 올려잡았다. 내년 성장률도 3.0%로 보고 있다.

이는 잠재성장률(연 2.8∼2.9%)을 웃도는 수준으로, 이 총재가 금리인상 전제 조건으로 제시한 '뚜렷한 성장세'에 부합한다는 평가다.

북한 리스크와 사드 갈등에 눌려있던 소비심리도 지난달 6년 11개월 만에 최고를 기록하는 등 개선되는 분위기다. 특히 북한 미사일 도발도 이번엔 한은 통화정책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반면 그동안 초저금리로 인한 부작용으로 가계부채는 1400조원을 돌파하며 위험수위를 넘었다.  대외적으로는 다음 달로 예상되는 미국의 추가 금리 인상도 금융불안 요인으로 꼽힌다. 신흥국인 한국이 미국보다 금리가 낮으면 자본 이탈을 유발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앞으로의 관심은 향후 인상 속도다. 금융시장에서는 내년 1∼2회 추가 인상할 것이라는 전망이 일반적이다.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