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계관 카드, 대미 협상력 제고 목적
미국, 예상 했던 상황

김계관 북한 외무성 제1부상(사진=연합뉴스)
김계관 북한 외무성 제1부상(사진=연합뉴스)

최근 북한이 담화를 통해 내달 12일로 예정 된 북미정상회담을 재고하겠다고 밝혀 평화기조에 급제동이 걸린 모습이다.

북은 김계관 북한 외무성 제1부상의 담화를 통해 미국의 밀어붙이기식 압박을 문제 삼았다. “볼턴을 비롯한 백악관과 국무성의 고위관리들은 '선 핵 포기 후 보상' 방식을 내돌리면서 그 무슨 리비아 핵포기 방식이니,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니, '핵, 미사일, 생화학무기의 완전 폐기'니 하는 주장들을 거리낌 없이 쏟아내고 있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지만 학계에 따르면 협상 테이블을 완전 뒤 엎으려는 의도라기보다 대미 협상력을 높이고 북한 내부의 불만을 잠재우기 위한 전략으로 보인다.

한편 미국도 북한의 이런 태도를 의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볼턴 국가안보보좌관의 리비아식 강경 전략이 미 정부 내의 공식적 입장은 아니라며 한 발 뺀 것.

샌더스 미 백악관 대변인(사진=연합뉴스)
샌더스 미 백악관 대변인(사진=연합뉴스)

백악관 샌더스 대변인은 16일 기자회견에서 리비아식 모델이 미 정부의 공식적인 전략인지 묻는 질문에 “그것이 우리가 적용 중인 모델인지 알지 못한다”고 말했다.

샌더스 대변인은 "나는 그것(리비아 모델)이 (정부내) 논의의 일부인 것을 본 적이 없다"면서 "나는 그게 '특정적인 것'임을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또 "그러한 견해(리비아식 해법)가 나왔다는 것은 알지만, 나는 우리가 (리비아 해법을) 따르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이것(비핵화 해법)이 작동되는 방식에 정해진 틀(cookie cutter)은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이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모델'"이라며 "대통령은 이것을 그가 적합하다고 보는 방식으로 운영할 것이고, 우리는 100% 자신이 있다"고 주장했다.

리비아식 모델이 미 정부의 공식입장은 아니라는 점은 확인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볼턴 보좌관이 해당 전략의 신봉자이고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도 단계적 해법인 ‘이란모델’을 최악의 협상으로 규정했던 것으로 미루어 볼 때 현재 북한의 입장에 대해 다소 온정적인 태도를 취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트럼프 모델'이라는 비공식적이고 유동적인 표현으로 트럼프 대통령 특유의 협상 방식인 불가측성과 모호성을 높이려 할 가능성도 있다.

이와 관련해 샌더스 대변인은 "대통령은 최고의 협상가이고 우리는 그 점에서 매우 자신 있다"고 했다.

샌더스 대변인은 일방적 핵포기를 강요할 경우 북미정상회담을 무산시킬 수도 있다는 북한의 주장에 대해 "이것은 우리가 완전히 예상했던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통령은 어려운 협상에 매우 익숙하고 준비돼 있다"면서 "북한이 만나길 원한다면 우리는 준비가 돼 있을 것이고, 그들이 만나지 않길 원한다면 그것도 괜찮다. 그렇다면 우리는 최대의 압박 작전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미정상회담이 취소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우리는 그것이 열릴 것으로 기대하고, 계속 전진할 것"이라고 답했다.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