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외환보유액 만큼 관리비용 들어가 우려의 시각도

지난달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단군 이래 최초로 4000억달러를 넘어선 4003억달러로 집계됐다. 외화자산 운용수익 등이 증가한 것이 주된 원인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총재 이주열)은 4일 “2018년 6월말 외환보유액”이라는 성명을 내고 이같이 밝혔다.

지난달 말 외화보유액은 5월 말(3989.8억달러) 대비 13.2억달러 증가한 4003억달러로 조사됐다.

외환보유액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유가증권 3679.1억달러(91.9%) ▲예치금 224.2억달러(5.6%) ▲SDR 32.6억달러(0.8%) ▲IMF포지션 19.1억달러(0.5%) ▲금 47.9억달러(1.2%)로 구성된다.

자료=한국은행

외환보유액은 한 나라가 비상사태를 위해 비축하고 있는 외화자금이다. 국가의 비상금으로서의 역할 뿐 아니라 환율을 안정시키고 국가신인도를 높이는 데 기여한다.

긴급사태 시 금융회사 등의 경제주체가 해외로부터 외화를 조달하지 못해 대외결제가 불투명할 경우에 대비하는 최후의 보루(堡壘) 기능을 한다.

즉 외환보유액은 ▲긴급할 때 바로 쓸 수 있도록 최소의 비용과 시간으로 매매 가능한 시장성이 높은 자산 ▲언제든지 현금화해 사용 가능한 자산 ▲정부나 중앙은행 등 통화당국이 통제가능한 대외자산인 것이다.

우리나라는 수출과 수입 등 대외 무역 의존도가 높아 한국의 경제 상황을 고려하면 꾸준히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우리나라는 지난 1999년 IMF 경제위기를 맞은 이후 꾸준히 외환보유액을 증가시켜(▲2001년 9월 1000억달러▲2005년 2월 2000억달러▲2011년 4월 3000억달러) 지난 6월 4000억달러를 넘어섰다.

하지만 증가하는 외환보유액만큼 이에 따른 관리비용이 들어간다. 정부와 중앙은행은 국채와 지방채 등 채권을 통해 국내에서 조달한 한화 자금으로 시중의 달러나 외환으로 표시된 자산을 산다. 채권 등은 결국 정부의 빚이기 때문에 이자비용이 발생한다. 또 달러 및 외화 자산투자하지 않고 여타의 다른 투자를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효익을 포기해야하는 기회비용이 생길 수도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한국의 적정 외환보유액을 3814억에서 5721억 달러로 봤다.  

한편 지난 5월 말 기준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 순위는 9위다.

자료=한국은행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