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무역분쟁 국내 경제 심리지수에 악영향
반도체 수출 의존적인 한국 등 아시아 지역 경제에 리스크로 작용 우려

사진-연합뉴스

미중 무역 분쟁의 확대가 국내 경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시점도 미뤄질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오는 가운데 대외 의존적인 한국 경제의 체질을 개선해야한다는 지적이다.

국제금융센터는 7일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국내 간접영향 우려'라는 보고서를 통해 "미중 무역분쟁의 불확실성 확대로 경제 심리지수가 악화하는 경우 금리 인상 시점이 지연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앞서 미국은 지난달 200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추가 관세 부과하겠다고 엄포를 놓은 바 있다.

다음 달 초 관련 검토가 끝나면 미국은 2000억달러어치 수입품 중 적어도 일부를 대상으로 관세를 매길 것으로 보인다.

올해 상반기 국내 D램(DRAM), 낸드플래시 수출의 대중 의존도가 각각 63%, 82%로 적지 않아 미국이 추가로 관세를 부과하는 품목이 중국의 전자기기·장비에 집중되면 한국 경제도 간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예측이다.

보고서는 "과거 경제 심리지수가 급락하거나 기준치(100)를 하회하면 한국은행은 정책금리를 인상하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며 미중 무역 분쟁 심화와 그에 따른 불확실성 증가로 금리 인상이 늦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경제 심리는 최근 악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국은행에 의하면 지난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1.0으로 작년 4월 이후, 전체 산업 업황 기업경기 실사지수(BSI)는 75로 작년 2월 이후 가장 낮았다.

CCSI와 BSI를 합쳐 산출한 경제 심리지수(ESI)는 전월보다 5.1포인트 떨어진 93.1을 나타내며 2016년 12월(91.5)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한편 글로벌 반도체 사이클이 꺾이고 있다는 관측도 나왔다.

글로벌 반도체 출하의 선행 지표로 여겨지는 미국 반도체 장비 출하액 증가율이 7월 급감한 까닭이다.

이는 반도체·전자제품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대만, 싱가포르, 일본 등 아시아 지역 경제 성장에 하방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

보고서는 "글로벌 반도체 사이클에 대한 단기 리스크가 확대됐다"며 "반도체 가격 상승이 과잉 생산을 야기한 경우 반도체 수요가 약화하면 글로벌 반도체 사이클이 급격히 위축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