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택보유자, 다중채무자 대출 늘어난 반면 다주택자 대출은 감소
대출 비중 3~50대 늘고, 고신용·고소득자 대출 비중 큰 폭 증가

최근 우리나라 국민의 가계부채는 1500조원을 넘어섰다. 국민 10명 중 4명이 가계부채를 보유하고 있고 이들의 1인당 부채 규모는 80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전히 가계부채 증가율은 소득 증가율보다 더 높았고, 특히 대출자 연령대는 경제활동이 활발한 30~50대 비중이 높아졌고, 고신용·고소득자 대출 비중이 큰 폭으로 증가한 점은 특기할만하다.

1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병욱 의원이 나이스평가정보(NICE)로부터 제출받은 '담보건수별 주택담보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 6월말 현재 우리나라 국민의 37%인 1903만명이 가계부채를 보유하고 있었다. 

이들의 부채총액은 1531조원이고, 1인당 부채는 8043만원이었다. 1년 전과 비교해 부채총액은 77조원(5.3%), 1인당 부채는 260만원(3.3%) 증가했다.

가계부채 보유자의 33.2%인 631만명은 자신의 집을 담보로 대출을 받았다. 이들의 부채총액은 978조원으로 전체 가계부채의 63.9%를 차지했다. 

주택담보대출 보유자 1인당 가계부채, (출처 나이스신용평가, 김병욱의원실 자료 제공)
주택담보대출 보유자 1인당 가계부채, (출처 나이스신용평가, 김병욱의원실 자료 제공)

이들 주택담보대출 보유자의 1인당 부채는 1억5486만원으로 전체 가계부채 평균의 두배에 달했다.

또 1년 사이 주택 한 채를 보유한 차주와 주택담보대출 이외 다른 부채도 보유한 다중채무자의 대출은 늘어난 반면 다주택자의 대출은 줄었다. 

주택담보대출이 없는 나머지 1272만명의 1인당 부채는 4348만원에 그쳤다.

주택 한 채당 대출 한건만 있고 담보로 잡힌 주택만 보유하고 있는 전제하에 주택담보대출 보유자 631만명 중 502만명(79.5%)은 1주택자이고, 1주택자의 부채총액은 689조원, 1인당 부채는 1억3742만원으로 1년 전보다 각각 38조원(5.8%), 557만원(4.2%) 증가했다. 

나머지 129만명(20.5%)는 2주택 이상 다주택자로, 5명 중 1명은 대출을 받아 추가 주택을 구입한 다주택자였다. 

이들 다주택자의 부채총액은 288조원으로 1년 사이 8조원(2.7%) 줄었다. 1인당 부채는 2억2233만원으로 13만원(0.1%) 증가했다. 이는 다주택자 부채총액보다 다주택 채무자가 더 많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1주택자의 대출은 늘고 다주택자는 준 것은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집값이 상승해 빚내서 집을 사려는 무주택자가 증가하고 다주택자에 대한 규제 강화로 '똘똘한 한 채'를 선호하는 현상이 심화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주택담보대출자의 4명 중 1명(23.1%)에 해당하는 146만명은 신용대출이나 제2금융권 대출 등을 보유한 다중채무자였다. 

다중채무자는 주로 신용대출(79.2%·이하 중복포함)이나 카드론(40.8%)을 받았다. 대부업대출(8.0%)이나 저축은행 신용대출(6.6%)을 받은 이들은 많지 않았다.

가계대출 신용등급별 차주 수 추이 (자료 -한은 가계부채 DB)
가계대출 신용등급별 차주 수 추이 (자료 -한은 가계부채 DB)

다중채무자의 부채총액은 336조원으로 1년 전보다 22조원(6.9%) 증가했다. 

1인당 부채는 2억2천950만원으로, 이중 1억4천672만원(63.9%)이 주택담보대출이고, 나머지 8천278만원(36.1%)은 신용대출 또는 제2금융권 대출이었다.

김병욱 의원은 "서민층의 내 집 마련을 위한 금융지원은 필요하겠지만 투기수요가 반영된 다주택자와 초고가 주택에 대한 과도한 대출은 엄격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다"며 "다만 다중채무가 증가하고 있는 점을 감안해 유동성이 악화하지 않도록 입체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2012년 1분기 39%였던 고신용자(1~3등급) 대출 비중도 올해 1분기 57%로 뛰었다. 중신용자와 저신용자 비중은 40%, 21%에서 각각 30%, 14%로 줄었다.

대출자의 소득구간별 분포는 연간소득이 5천만원 이상~8천만원 미만 비중이 2012년 1분기 26%에서 올해 1분기 30%로 상승했다. 반면에 2천만원 이상~5천만원 미만 비중은 같은 기간 61%에서 54%로 하락했다. 올해 1분기 소득 2천만원 미만 차주 비중은 7%였다.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