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P2P대출 가이드라인 개정…부동산PF 상세정보, 담보권 설정 등 공시
카카오페이 등 타 플랫폼에 상품 광고·판매시 충분한 투자자 정보 제공 의무화

P2P 대출(사진-연합뉴스)
P2P 대출(사진-연합뉴스)

내년부터 P2P(개인간거래)업체의 공시 의무가 확대되고, 자금 돌려막기도 금지된다.

또한 P2P대출업체가 카카오페이나 삼성페이 등 다른 플랫폼을 통해 P2P상품을 광고·판매할 경우 상품의 위험성을 충분히 고지해야 한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11일 이 같은 내용 등을 담은 P2P대출 가이드라인 개정안을 발표했다.

P2P대출은 핀테크 혁신의 주요 분야 중 하나로 거론되는데 9월말 현재 업체수 205개사, 누적대출액 약 4조3000억원을 기록할 만큼 급성장했다. 

하지만 그동안 연체율 급등과 사기·횡령 사고 등으로 몸살을 앓아왔다.

금융당국은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이드라인 형태로 단기 처방전을 냈다.
 
우선 P2P업체에 대해 공시 의무를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기존에 PF(프로젝트 파이낸싱)대출은 공사진행 상황과 차주의 자기자본 투입, 대출금 사용내역 정도만 공시하면 됐지만 앞으로는 PF사업 전반과 차주·시행사·시공사의 재무·실적 정보, 대출금 용도 등을 알려야 한다.

부동산 물건 존부(존재 여부)나 담보권 설정 여부 등 주요사항에 대해선 외부 전문가의 검토 내용을 공시해야 한다.

PF 등 부동산 P2P대출 상품은 판매 전 2일(48시간) 이상 공시해 투자 전에 심사숙고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해야 한다.'

연체율 산정방식도 통일된다. 일부 업체들이 연체율을 산정할 때 분모에 총누적대출잔액을 입력했으나 앞으로는 현재 총대출잔액으로 바꿔야 한다. 

분모를 총누적대출잔액으로 설정하면 모수가 커져 연체율이 낮아지는 착시 효과가 난다.

P2P업체가 다른 플랫폼을 통해 P2P상품을 광고·판매하는 경우에 투자자에 대해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의무도 부과했다.

해당 상품이 P2P대출상품인 점, 투자계약은 P2P업체와 진행된다는 점, P2P대출 상품은 위험성이 있다는 점, P2P업체의 사업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 등을 고지해야 한다.

이는 카카오페이나 삼성페이 등 모바일결제플랫폼에서 P2P대출 상품이 판매되는 데 대한 투자자 보호장치를 강화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자금 돌려막기 등 불건전·고위험 영업도 제한하기로 했다. 단기조달을 통해 장기운용하는 만기불일치 자금운용을 원천 금지한다는 의미다.

대출상환금은 투자금처럼 연계대부업자의 고유재산과 분리해 보관하고 P2P업체 부도·청산 등에 대비한 지침을 만들어 투자자 자금 보호 강도도 높이기로 했다.

외부 전문기관을 통해 개인정보 등 보안 관리체계를 점검하고 P2P업체 직원을 P2P대출이 제한되는 이해 상충 범위에 포함하기로 했다.

금융당국은 P2P대출 시장을 대부업이나 자본시장과 다른 별도의 법률을 제정해 통제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있다. 

금융당국은 법제화 이후 인허가 등록 때 P2P업체의 그간 가이드라인 준수 여부 등을 반영할 계획이다.

금융사의 P2P 투자도 허용한다는 입장이다. 이 경우 여신전문금융사나 저축은행이 P2P 대출에 투자자로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