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 실적부진 그룹 전체 신뢰하락으로 이어져

현대차그룹은 글로벌경쟁력에서 '착한 기업’ ‘기업의 사회적 가치’를 재무장하지 않으면 안될 숙명에 처했다.
현대차그룹은 글로벌경쟁력에서 '착한 기업’ ‘기업의 사회적 가치’를 재무장하지 않으면 안될 숙명에 처했다.

현대차그룹(회장 정몽구)의 공정자산 규모가 1년 새 2조원 이상 줄며 국내 재계 2위의 위상이 크게 추락하고 있다.

22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에 따르면 공정거래위원회 지정 60개 대기업집단의 지난해 9월 말 기준 공정자산을 집계한 결과 현대차그룹은 220조5980억원으로 나타났다.

적자폭이 지난 2017년 말 222조6540억원 대비 2조560억원(0.9%)이나 줄어 60개 대기업집단 중 조 단위로 감소한 유일한 그룹이 됐다.

현대‧기아차의 부진이 치명타다.

기아차가 39조957억원에서 37조967억원으로 1조9990억원, 현대차는 70조1307억원에서 69조32억원으로 1조1274억원 각각 줄었다.

현대기아차 다음으로 자산이 많이 줄어든 곳은 현대건설(-2660억원), 현대제철(-1563억원) 등이며 현대로템(-454억원), 현대엠시트(-427억원), 현대엔지니어링(-335억원), 이노션(-328억원) 등은 감소액이 1000억원 미만이었다.

작게 보면 현대‧기아차의 실적 부진으로 생각되지만 현대차 그룹 전체를 바라봤을 때 실상은 신뢰문제로 흔들리고 있다.

지난 20일 현대‧기아차에 대한 검찰의 강제수사가 강행됐다.

국토교통부와 시민단체의 고발이 이어지면서 검찰의 본격적인 조사가 된 셈이다.

문제는 그동안 미국과 한국에서 계속 제기된 차량 제작결함 은폐의혹, 특히 세타2엔진와 에어백 등에 대해 수사의뢰가 진행된 것.

현대차의 치명적인 실수는 자동차관리법에서 제작사가 결함을 안 날로부터 25일 안에 시정계획서를 제출하고 책임을 지는 초기 대응과 이후 결함이 확인되었을 때 적절한 대처가 부족했다.

지난 20일 현대·기아차가 차량 제작결함을 은폐했다는 의혹에 대해 검찰조사가 진행되면서 그룹이미지에 타격을 입게 됐다.(사진-연합뉴스)
지난 20일 현대·기아차가 차량 제작결함을 은폐했다는 의혹에 대해 검찰조사가 진행되면서 그룹이미지에 타격을 입게 됐다.(사진-연합뉴스)

이는 최근 글로벌 경제가 ‘착한 기업’ ‘기업의 사회적 가치’ 등에 세계인들이 공감을 표하고 의미부여를 하는 트렌드를 제대로 읽지 못한 점이다.

특히 대기업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감이 더욱 높은 만큼 그들에게 요구되는 기업가 정신도 국민 눈높이에 맞춰 따라가야 하는데 현대차의 움직임은 그러지 못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017년 5월 현대·기아차의 제작결함 5건과 관련해 12개 차종 23만8000대의 강제리콜을 명령하면서 의도적인 결함 은폐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강제리콜 대상에는 ▲ 제네시스(BH)·에쿠스(VI) 캐니스터 결함 ▲ 모하비(HM) 허브너트 풀림 ▲ 아반떼(MD)·i30(GD) 진공파이프 손상 ▲ 쏘렌토(XM)·카니발(VQ)·싼타페(CM)·투싼(LM)·스포티지(SL) 등 5종 R-엔진 연료 호스 손상 ▲ LF쏘나타·LF쏘나타하이브리드·제네시스(DH) 등 3종 주차 브레이크 경고등 불량 등이 포함됐다.

당시 국토부는 현대·기아차가 이들 5건의 결함을 2016년 5월께 인지하고도 리콜 등 적정한 조치를 하지 않았다는 김광호 전 현대차 부장의 내부 제보문건을 근거로 이 같은 행위가 은폐에 해당하는지 수사를 의뢰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국토부는 싼타페 조수석 에어백 결함 미신고 건과 관련해서도 지난 2016년 검찰에 수사의뢰한 바 있다.

국토부 수사의뢰에 앞서 같은 해 4월 서울YMCA 자동차안전센터도 세타2 엔진의 제작 결함과 관련해 현대차 측이 결함 가능성을 은폐했다며 정몽구 현대·기아차그룹 회장 등을 고발했다.

현대차는 2017년, 세타2 엔진 사용 차량에서 시동 꺼짐 등 위험을 가진 제작결함이 발견됐다면서 리콜을 실시했다.

당시 서울YMCA는 2010년부터 8년간 결함을 부인하다가 국토부 조사 결과 발표가 임박하자 리콜 계획을 제출했다며 '늑장 리콜'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미국 소송건은 대미 수출의존도가 큰 현대·기아차에게는 엄청난 재앙이다.  

지난 2017년 4월, 미국 오하이오 주에서 한 40대 남성이 2014년식 쏘울 차량에 시동을 건 직후 차에 불이 나 숨지는 사고가 발생한 이후 미국 내 비영리 자동차 소비자단체인 CAS(Center for Auto Safety)가 나서면서 의혹이 증폭됐다.

CAS가 지난 2018년 6월, 2011∼2014년식 현대 싼타페와 쏘나타, 기아 옵티마와 소렌토 등 4개 차종에 대해 엔진화재 관련 결함 조사를 촉구하는 청원을 미 도로교통안전국(NHTSA)에 제기했지만 같은 해 8월 당시까지 발생한 차량화재에서 일정한 경향성이 없어 조사할 이유가 없다는 조사중단 통보를 받게 된다.

이후 CAS는 美 상원 민주당 빌 넬슨 의원과 함께 쏘울 화재 사망사고를 내세워 청문회를 추진하면서 일련의 차량화재를 현대·기아차가 앞서 미국에서 진행한 세타2 엔진 관련 리콜과 연관 지으면서 현대차의 추락이 표면화됐다.

현대·기아차는 지난 2015년과 2017년, 미국에서 세타2 엔진을 장착한 쏘나타(2011∼2014년식), 싼타페(2013∼2014년식), 옵티마(2011∼2014년식), 쏘렌토(2012∼2014년식), 스포티지(2011∼2013년식) 등 총 199만대의 차량을 리콜했었다.

당시 현대차의 리콜 사유는 엔진 소음 및 진동과 주행 중 시동꺼짐현상 등이었지만 CAS는 해당 조처가 불충분해 차량화재로 이어졌다며 신뢰하지 않았다.

이는 결국 대미수출에서 현대·기아차의 불신으로 이어졌고 세단 중심의 판매전략이 글로벌 SUV 시장트렌드를 제대로 읽지 못한 과오를 범하면서 매출감소로 이어졌다.

현대·기아차는 2017년 그 당시, 국내에서도 국토교통부 결정에 따라 ▲2010년 12월부터 2013년 8월까지 생산된 그랜저HG(2.4GDi) 11만2670대 ▲2009년 7월부터 2013년 8월까지 생산된 YF쏘나타(2.4GDi, 2.0 터보GDi) 6092대 ▲2011년 2월부터 2013년 8월까지 생산된 K7(2.4GDi) 3만4153대 ▲2010년 5월부터 2013년 8월까지 생산된 K5(2.4GDi, 2.0 터보GDi) 1만3032대 ▲2011년 3월부터 2013년 8월까지 생산된 스포티지(2.0 터보GDi) 5401대를 리콜 조치했다.

현대차의 운명이 2년 만에  강행한 세타Ⅱ 엔진 결함 등 차량 제작결함 은폐의혹 검찰수사로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됐다.

 

키워드

#현대차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