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한국 성장률도 0.3%p 낮아진 2.6% 전망…"세계성장 둔화 영향"
내년 세계경제 성장률 3.7%→3.5%…"경기 활성화 위해 노력해야"권고

그래픽-연합뉴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앞서 예측한 수치보다 0.2%포인트 낮은 2.6%로 잡았다. 내년 전망치도 당초 2.9%보다 0.3%포인트 낮은 2.6%로 내다봤다.

6일(현지시간) OECD는 '중간 경제전망(OECD Interim Economic Outlook)'을 발표해 이같이 밝혔다. OECD는 매년 2회(6월과 11월) '경제전망' 보고서를 발간하며, 매년 2회(3월과 9월경) 주요국(G20국가, 한국 포함)을 대상으로 한 '중간 경제전망'을 발표한다.

이번에 OECD가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전망한 수치는 지난해 11월 전망한 2.8%보다 0.2%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2020년 성장률 전망치도 지난해 11월 전망한 2.9%보다 0.3%포인트 낮춰 잡았다.

OECD는 "글로벌 교역과 세계 성장 둔화의 영향을 반영해 전망치를 낮춰 잡았다"면서도 "확장적 재정과 낮은 물가상승률이 국내수요를 뒷받침해줄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정부는 이 OECD 성장률 전망치가 정부의 성장전망 범위 내에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2019년 경제정책 방향' 보고서에서 올해 성장률 예측 범위를 2.6~2.7%로 잡았다.

한편 블룸버그가 46개 투자은행(IB)·국제신용평가사 등을 대상으로 집계한 올해 한국의 성장률 전망 평균치는 2.5%였다. 무디스는 이달 4일 발표한 '세계 거시 전망 2019∼2020' 보고서에서 한국의 성장률이 올해 2.1%, 내년 2.2%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OECD는 세계 경제의 성장폭도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둔화할 것으로 봤다. 특히 유로존의 성장률을 큰 폭으로 조정했다.

OECD는 세계경제 성장률을 지난해 11월 예상한 수치보다 낮춰잡았다. 당초 예측했던 올해 성장률은 3.5%이지만 3.3%로 0.2%포인트 낮춰 잡았으며 내년 성장률도 3.5%에서 0.1%포인트 낮은 3.4%로 잡았다.

OECD는 "중국·유로존 경기 둔화와 무역긴장 지속 및 경제심리 악화 등의 영향으로 성장 모멘텀 약화되고 있다"며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와 美·中 통상마찰 관련 불확실성 등 하방 리스크 상존한다"고 설명했다.

미국 성장률은 2019년 2.7%에서 2.6%로 내려 잡았다. 다만 2020년은 2.1%에서 2.2%로 상향 조정했다.

OECD는 "감세 등 확장적 재정 효과 약화, 무역분쟁 영향 등을 고려해 올해 전망치 하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또 "양호한 노동시장이 민간소비를 지탱할 것으로 예상되나, 무역분쟁의 영향으로 투자와 수출은 둔화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의 경우 무역분쟁 영향의 가시화로 인한 수출·생산 둔화 등을 반영해 전망치 하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OECD는 중국의 올해 성장률 6.3%에서 6.2%로 낮춰잡았다. 다만 내년 성장률을 6.0%로 지난해 11월과 같은 의견을 냈다. OECD는 "확장적 재정·통화정책으로 경기를 보완할 예정이나, 이로 인해 기업부문 디레버리징이 지연되고, 금융 안정성이 약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일본의 경우 산업생산 및 경제심리 둔화 등을 반영해, 올해는 1.0%에서 0.8%로 내려 잡았지만 내년은 당초 예측치인 0.7% 수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OECD는 "소비세 인상(10월 예정)으로 인한 부정적 효과는 올해 적극적 재정확대와 일부 세금감면 등을 통해 어느 정도 보완될 것"으로 예상했다.

OECD는 보고서를 통해 세계 각국은 경기 활성화 노력과 함께 정책 불확실성(美中 통상마찰·브렉시트 등), 금융취약성 확대 등 하방 리스크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OECD는 "선진국의 경우 불확실성 확대, 低성장․低인플레 기조 등 현재 상황 고려시,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 조절은 적절한 조치가 될 수 있다"면서도 "무역긴장 해소시 미국 등 성장세가 비교적 양호한 국가는 통화정상화 재추진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신흥국인 중국 등은 확장적 정책을 추진하되 부채 리스크 관리 필요하며 아르헨티나, 터키는 투자심리 회복을 위해 재정건전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더불어 세계 각국은 지속가능한 성장과 중장기적인 삶의 질 개선을 위해 구조개혁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자료-기획재정부·OECD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