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합동 조사위, 최근 사고 23건 원인조사 결과 발표
운영관리 미흡·제조 결함 등 5가지 주요인

최근 20건 넘게 발생한 에너지저장장치(이하 ESS) 설비 화재의 원인이 배터리 자체 결함부터 운영환경 관리 미흡 등 전체적인 부실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1월 울산시 남구 대성산업가스 에너지저장장치에서 발생한 화재현장 모습(사진-연합뉴스)
지난 1월 울산시 남구 대성산업가스 에너지저장장치에서 발생한 화재현장 모습(사진-연합뉴스)

조사위, 최근 발생 23건 사고 원인분석

민간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 조사위원회(이하 조사위)는 11일 이같은 내용의 사고 원인 조사 결과와 ESS 종합 안전강화 대책 및 산업생태계 경쟁력 지원 방안을 동시에 발표했다.

조사위는 지난 2017년 8월부터 올해 5월까지 집계된 ESS 화재사고 23건의 원인을 알아내기 위해 학계, 연구소, 시험인증기관 등 19명의 전문가로 구성돼 지난 1월부터 조사에 착수했다.

조사결과 전체 23건 중 △14건은 충전 완료 후 대기 중에 발생했으며 △6건은 충·장전 중에 △3건은 설치·시공 중에 일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배터리 생산과정 결함을 확인하기 위한 셀 해체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진-산업통상자원부)
배터리 생산과정 결함을 확인하기 위한 셀 해체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사고의 주요인으로는 △전기적 충격에 대한 배터리 보호시스템 미흡 △운영환경 관리 미흡 △설치 부주의 △ESS 통합제어·보호체계 미흡 △일부 배터리 셀 제조상 결함 등 5가지로 정리됐다.

조사위 관계자는 "일부 배터리 셀에서 극판접힘, 절단불량, 양극 활물질 코팅 불량 등 제조 결함을 확인했다"며 "ESS가 하나의 통합된 시스템으로 설계·보호되지 못했던 원인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는 그동안 업계에서 사고 원인으로 지목됐던 설비 제조·설치·운영 전반에 걸친 부실이 사실로 드러난 셈이다.

정부, ESS '안전관리 강화 대책' 시행

이에 정부는 화재 원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ESS제조·설치·운영 등 모든 단계의 안전관리를 강화한다. 또 소방기준을 새롭게 구축해 화재대응 능력을 높이는 등 종합적인 안전강화 대책을 시행할 계획이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주요 대책을 살펴보면 ESS 설비 제조 과정에서부터 결함이 생기지 않도록 배터리·PSC(전력변환장치) 등 주요 부품 인증을 의무화하고 ESS 시스템 전반에 대한 표준화를 실시한다.

설치기준에 대해서는 △옥내 설치 경우 용량을 600kWh로 제한하고 △옥외는 별도 전용건물을 짓도록 했다.

이밖에 운영 및 관리 보안과 소방시설법 시행령 개정 등을 통해 ESS 산업의 취약점을 보완해 나가기로 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화재사태 이후 ESS 설치 중단기간을 고려해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가중치 적용을 6개월 연장하고, 안전제도 개선에 따른 설치비용 증가 부담도 완화할 것"이라며 "ESS 신규 비즈니스 모델 창출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