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교역 위축 가능성 높아졌고, 반도체 경기회복 예상보다 지연"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2일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열린 한은 창립 69주년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2일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열린 한은 창립 69주년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2일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주열 총재는 이날 한은 창립 69주년 기념사에서 향후 통화정책 방향에 대해 "경제 상황 변화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해 나가야 하겠다"고 밝혔다.

'상황 변화에 따른 적절한 대응'이라는 표현이 주목 받고 있다. 이 총재는 그간 이와 유사한 표현을 사용하지 않았다. 경기 상황이 악화될 경우 금리를 내려 경기를 끌어올리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금리 인하를 검토해야 할 상황은 아니다"(4월 1일), "금리 인하로 대응할 상황은 아직 아니다"(5월 31일)라고 했던 이 총채의 최근까지의 입장과 확연한 온도차를 나타낸다.

그는 "미중 무역분쟁, 반도체 경기 등 대외 요인의 불확실성이 크게 높아진 만큼 그 전개 추이와 영향을 면밀히 점검"해야 한다는 점을 배경으로 꼽았다.

이 총재는 "미중 무역분쟁이 심화하면서 세계교역이 위축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반도체 경기의 회복이 예상보다 지연될 소지도 있다"고 진단했다.

앞서 이 총재는 "하반기부터는 (주요국의) 수요가 살아나며 반도체 경기도 개선할 것"으로 지난 4월 전망했고, 이는 4월과 5월 금리동결에 고려된 요소 중 하나였다.

이 총재는 "반도체 경기의 회복 지연, 미중 무역분쟁 심화 등으로 대외 환경이 크게 달라졌다"며 "성장경로의 불확실성은 한층 커진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정 산업 중심의 수출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우리 경제로선 이같은 불확실성 요인이 어떻게 전개되는지에 따라 성장이 영향받을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반복 언급되고 있는 '경제성장의 불확실성' 표현은 한은이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낮출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한은의 기존 전망치는 2.5%이며 수정 전망치는 다음달 18일 발표된다.

국제 경제 환경의 불확실성에서 비롯될 수 있는 한국 경기 부진 상황에서 금리 인하 카드를 검토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 총재는 "저출산·고령화, 주력산업의 경쟁력 약화, 노동시장의 이중구조 등 우리 경제의 성장을 제약하는 구조적 요인들이 상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가계부채는 최근 증가세가 다소 둔화했지만, 총량 수준이 매우 높고 위험요인이 남아있는 점을 고려할 때 이에 대한 경계감을 아직 늦출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신성장동력 발굴, 고부가가치 서비스업 활성화, 노동시장 유연·안정성 제고, 규제 합리화를 일관되게 추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당장의 어려움 때문에 변화하지 않는다면 훗날 더 큰 비용을 치르게 된다는 절박한 마음가짐이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기념식을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올해 경제흐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인 미중 무역분쟁과 반도체 경기가 당초 예상보다 어려운 쪽으로 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미중 무역분쟁과 반도체 경기가 언제 어느 정도 회복되느냐가 올해 경제 흐름을 좌우할 수 있는 큰 요인"이라며 "미중 무역분쟁이 우리 경제를 어렵게 하는 방향으로 전개되는 것 같고 반도체 경기도 당초 예상보다는 회복시기가 지연될 수 있다고 걱정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2가지 대외 요인이 예상했던 것보다 어려운 쪽으로 가고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 발언이 향후 금리 인하를 시사한 것이냐는 질문에는 "통화정책방향 관련 메시지는 창립기념사 문안 그대로 해석하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이 총재의 발언이 통화완화 기조 진전으로 이해했다고 밝힌 것에 대해서는 "(통화정책은) 지금도 완화적이라고 했었고 부총리께서 말한 것에 대해 코멘트할 상황은 아니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