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4차 교섭서도 진전 없으면 파업 수순
신한·우리·하나·국민·기업 등 속해 있어 파업 땐 파장 예상

허권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위원장. 금융노조는 서울 명동 소재 은행연합회 건물 로비에서 19일 오후 13시 '산별중앙교섭 성실교섭촉구 결의대회'를 열고 은행 대표단 측에 교섭에 성실히 임하라고 촉구했다. 노조는 이날 결의대회를 마치고 은행 측 대표단과 저임금 직군의 처우 개선 등에 관해 교섭을 벌였으나 합의에 도달하지는 못했다.   
허권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위원장. 금융노조는 서울 명동 소재 은행연합회 건물 로비에서 19일 오후 13시 '산별중앙교섭 성실교섭촉구 결의대회'를 열고 은행 대표단 측에 교섭에 성실히 임하라고 촉구했다. 노조는 이날 결의대회를 마치고 은행 측 대표단과 저임금 직군의 처우 개선 등과 관련 교섭을 벌였으나 합의에 도달하지는 못했다.   

전국산업금융노조(금융노조)는 19일 은행 측 대표단과 저임금 직군의 처우 개선 등에 관해 교섭을 벌였으나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 

노조는 내달 7일 추가 교섭을 이어갈 예정이지만 사측과의 합의안을 도출하지 못하면 정식 절차를 통해 파업에 돌입한다는 입장이다.

금융노조는 신한·우리·KEB하나·KB국민·기업은행 등 국내 굴지의 시중은행들이 포함돼 있어, 파업이 진행되면 사회적 파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산하 금융노조는 19일 서울 명동 소재 은행연합회 건물 로비에서 이날 오후 13시 '산별중앙교섭 성실교섭촉구 결의대회'를 열고 은행 대표단 측에 교섭에 성실히 임하라고 촉구했다.

이날 노조는 결의 대회 이후 사용자 측 대표단과 3차 산별교섭을 이어갔다.

허권 금융노조 위원장은 결의 대회사를 통해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금융산업의 안정성을 위협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허 위원장은 노동 존중사회를 내세웠던 문재인 정부를 비판하며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문재인 정부 첫 금융위원장임에도 불구하고 금융정책의 보수화에 앞장서왔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대통령 공약이었던 노동이사제 도입을 막아섰고, 인터넷전문은행을 빌미로 금융산업 안정성 사수를 위한 최후의 보루인 은산분리 규제를 완화했다"며 "인터넷전문은행이 대주주 적격성 심사를 통과하지 못할 지경에 놓이자 이제 대주주 적격성 규제조차 완화하려는 시도를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집회 이후 금융노조는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와 산별중앙교섭 3차 임원급교섭을 가졌다. 

지난 4월 16일 교섭대표단 상견례와 산별중앙교섭을 진행한 이후 노조는 사측과 20여 차례 실무진 교섭을 이어왔으나, 현재 합의점에 도달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노조는 올해 임금단체협상의 핵심과제로 저임금직군의 임금수준을 일반 정규직의 80%로 인상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또 ▲임금피크제 대상 직원들의 과도한 임금삭감 개선 ▲임금피크제 비(非)대상 직원들의 후선역제도 금지 ▲노동이사제도입 ▲ 통상임금-평균임금 산정기준 개선 등을 사측에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노조와 사측은 임금인상률과 저임직군의 처우개선, 이 두 가지 쟁점에서 서로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이날 노조는 임금인상률 3%를 요구했고, 사측은 0.6%(총액임금기준)를 제안하며 의견 충돌을 보였다.

또 사측은 저임금직군에 대한 임금인상폭도 0.6% 범위 내에서 하자는 입장을 보였으나 노조는 이에 강력 반발하고 있다. 이에 사측은 0.6% 인상 제안을 바로 철회한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이날 3차 중앙교섭은 결렬로 마무리됐다. 노조는 내달 4일 4차 대표단 산별교섭을 이어간다.

노조는 4차 교섭에서도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 중앙노동위원회의 노동쟁의조정신청을 할 계획이다. 만약 이때에도 교섭이 결렬되면 노조는 정식으로 파업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이후 노조는 조합원들을 대상으로 총파업 찬반투표를 거친 후 단체행동 여부를 결정한다.

한편 금융노조는 금융위원장의 퇴진과 금융위원회의 해체를 요구하는 릴레이 1인 시위를 금융위원회가 위치한 광화문 정부종합청사에서 이날부터 시작했다.

이날 오전 허권 위원장을 시작으로 금융노조는 간부들은 매일 아침 출근 시간 1인 릴레이 시위를 이어갈 예정이다. 

노조는 임금단체협상을 통해 사측에 ▲저임금직군의 임금수준 개선 ▲임금피크제 대상 직원들의 과도한 임금삭감 반대 ▲임금피크제 비(非)대상 직원들의 후선역제도 금지 ▲노동이사제도입 ▲ 통상임금-평균임금 산정기준 개선 등을 요구하고 있다.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