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일본과 거래하는 500개 기업 조사
67% "일본기업과 신뢰 악화"…대응책은?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 조치가 장기화될 경우 관광업계와 반도체 업계가 가장 큰 피해를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일본 기업과 거래하고 있는 기업들 중 절반 이상이 신뢰관계가 악화됐다고 호소함에 따라, 정부 측의 구체적인 대안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지난달 14일 대전시 서구에서 일본 정부의 역사왜곡과 경제보복을 규탄하는 촛불집회 현장 모습(사진-연합뉴스)
지난달 14일 대전시 서구에서 일본 정부의 역사왜곡과 경제보복을 규탄하는 촛불집회 현장 모습(사진-연합뉴스)

3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일본기업 거래관계가 있는 국내기업 500개사를 대상으로 '일본 수츌규제에 따른 산업계 영향과 대응과제'를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그결과 응답기업의 66.6%가 '일본 기업과 거래관계에서 신뢰가 악화됐다'고 답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일본 기업은 우수한 품질과 적시생산시스템(Just In Time)으로 신뢰가 높았다"며 "수출규제 이후 안정적 사업파트너라는 국내 기업들의 인식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수출규제가 장기화됨에 따라 가장 큰 피해가 우려되는 업종은 관광업(87.8%)이다. 이어 반도체(85.4%), 화학(62.7%) 순으로 조사됐다. 반면 전지(38.7%), 조선(18.6%) 등은 상대적으로 피해를 예상하는 응답이 낮았다.

경제 부문별로는 수출규제가 장기회될 경우 수출과 수입면에서 직접적인 피해보다 기술교류, 관광산업 등 간접 피해에 대한 우려가 컸다. 직접 피해 부문인 '대일 수출과 대일 수입에서는 장기화에 따른 큰 영향을 우려하는 응답'이 각각 15.8%, 28.8%였다. 반면 간접 부문인 '기술교류와 관광산업에 대한 영향'은 각각 34.8%, 48.4%로 조사됐다.

일본 수출규제에 대응하는 방식도 기업 규모에 따라 차이가 발생했다. 대기업의 경우 4곳 중 3곳(73%) 정도가 이미 대책을 마련했거나 준비 중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중소기업은 26%만 대책을 마련하거나 준비하고 있을뿐, 대다수인 74%가 대응계획이 없는 상황이었다.

구체적인 대응방안으로는 △신규거래처 확보(46.7%) △기존 거래처와 협력 강화(20.3%) △재고 확보(8.6%) △일본외 지역 개발(6.6%) △독자기술 개발(6.1%) 등이 나왔다.

현재 정부는 해결책을 두고 '소비·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대책을 내놨다. 하지만 기업들은 이를 위한 구체적인 과제로 R&D 세액공제 확대(37.8%), 대-중소기업 협력체계 구축(32%)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재근 대한상의 산업조사본부장은 "일본정부의 수출규제 조치가 우리나라 소재·부품·장비산업의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전화위복의 기회로 보는 시각도 있다"면서 "이를 위해서는 R&D, 기업간 협업, 규제해소 등 산업 전반의 시스템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