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26건중 14건, LG화학 中공장 생산 제품
산업부, 결함의혹에 뒤늦은 비공개 리콜 요청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전국에 설치된 에너지저장시설(ESS) 화재가 끊이지 않는 가운데 불이 난 ESS의 절반이상이 LG화학 배터리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이 제품들은 모두 특정 시기와 장소에서 생산된 제품으로 나타났다.

7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훈 의원에 따르면 2017년부터 시작된 국내 ESS화재 26건 가운데 14건이 LG화학 제품으로 밝혀졌다.

문제가 되고 있는 LG화학 배터리는 모두 특정 시기·장소에서 제작된 제품이다. 14건의 화재 모두 중국 난징공장에서 2017년 2분기에서 4분기 사이 생산된 제품으로 나타났다. 2018년 이후 생산된 제품에서는 화재가 단 한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반면 삼성 SDI의 경우 총 9건의 화재가 발생했지만 제품의 제조일자와 장소가 특정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지난 6월 민관 합동 조사위원회를 결성해 ESS 배터리 화재 원인으로 ▲배터리 시스템 결함 ▲전기충격에 대한 보호체계 미흡 ▲운용환경관리 미흡 ▲ESS 통합관리 체계 부재 등을 꼽았다. 당시 정부는 배터리 자체 결함에 대해 “자체발화로 이어질 수 있는 배터리 셀의 내부단락(합선 등의 이유로 과다한 전류가 흐르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며 화재의 직접 요인이 아니라고 일축했다.

하지만 산업부는 이후에도 같은 제품에서 불이나 제품 결함 의혹이 증폭되자 뒤늦게 배터리에 대한 리콜까지 비공개 요청한 것으로 드러났다.

LG화학의 해당 배터리를 쓴 ESS는 전국에 200곳 정도로 해외 설비까지, 교체 비용은 1500여억원으로 추산된다.

LG화학 측은 "자체적으로 정밀실험을 진행해 결과에 따라 적절한 추가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훈 의원은 "관련 화재가 재발할 때마다 국가경쟁력과 기업의 신뢰는 무너질 것"이라며 "특정시기 생산된 관련 배터리가 전국에 198개소나 더 있다. 지금이라도 자발적인 리콜을 진행하는 것이 당장의 손해보다 미래의 신뢰와 세계시장을 점유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