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사진-연합뉴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유동성 확대 조치를 시행, 이에 신흥국 채권 등 위험자산으로 자금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는 진단이 나왔다.

17일 안재균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10월 들어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9bp(1bp=0.01%), 30년물 금리는 11bp 각각 상승했다"며 "중국과 무역협상에서 부분합의를 이루고 연준이 유동성 확대 계획을 발표하면서 금리 상승이 나타났다"며 이같이 분석했다.

안 연구원은 "연준은 월간 600억 달러 규모로 단기국채 매입을 시행하고 레포(Repo·환매조건부채권) 거래도 최소한 내년 1월까지 실시하겠다고 밝혔다"며 "여기에 기준금리 추가 인하까지 단행될 경우 양적완화와 유사한 금융시장 환경이 형성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통화 완화 환경이 조성되는 가운데 대외 불확실성 감소로 미국 주요 국채금리는 10월 초를 저점으로 당분간 반등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유럽중앙은행(ECB)에 이어 연준도 유동성 확대 대열에 동참하면서 글로벌 유동성 확대 환경이 형성되고 있어 위험자산 선호 강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달러 약세가 크게 나타나지 않더라도 신흥국 채권 등 위험자산으로의 투자자금 유입이 나타날 가능성이 커졌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다만 미국이 중국과 이룬 무역 합의는 일부에 불과하고 불확실성이 아직 높아 미국 국채금리의 급격한 반등 흐름이 나타나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