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비정규직 노동자 비율 전년 동기 대비 3.4%포인트↑
정부 "통계에 기간제 추가 포함 착시…직전 기간 직접 비교 어려워"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연대회의) 소속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박금자 위원장이 지난 7월 1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신문로2가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2차 총파업 선포 기자회견을 하며 발언을 마친 뒤 땀을 닦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연대회의) 소속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박금자 위원장이 지난 7월 1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신문로2가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2차 총파업 선포 기자회견을 하며 발언을 마친 뒤 땀을 닦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올해 임금노동자 중에서 비정규직 노동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큰 폭으로 증가해 비정규직 노동자의 수와 비율이 역대 최대치를 나타냈다. 정부는 비정규직을 줄이고 정규직을 늘리려 많은 정책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집계된 통계치는 암울한 현 상황을 방증하고 있다.

8월 비정규직 노동자 748만명…전년 동기 比 3.4%포인트↑ 

통계청은 29일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를 발표해 8월 기준 비정규직 노동자의 규모가 748만1000명으로 전체 임금 노동자의  36.4%라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월(661만4000명·33%) 대비 3.4%포인트 오른 수치다.

다만 정부는 "과거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포착되지 않던 기간제 근로자가 추가로 포착됨에 따라 기간제, 한시적, 비정규직, 정규직 근로자의 규모를 전년대비 증감으로 비교하는 것은 불가하다"고 설명했다.

자료-통계청
자료-통계청

노동 형태별로 분류해보면 한시적 노동자는 478만5000명(23.3%), 시간제는 315만6000명(15.3%), 비전형은 204만5000명(9.9%)의 순으로 집계됐다.

한시적 노동자는 기간제 노동자와 비기간제 노동자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비전형 노동자는 특수한 형태의 노동을 제공하는 노동자로 파견노동자, 용역노동자, 특수형태 노동자, 일일 노동자, 가정 내 노동자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20대·50대 이상 노동자, 그리고 여성 노동자 고용의 질 낮아    

성별로는 여자는 412만5000명(55.1%), 남자는 335만6000명(44.9%)로 여성이 남성보다 비정규직 노동에 더 많이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계층별로는 60세 이상 193만8000명(25.9%), 50대 157만4000명(21.0%), 20대 136만2000명(18.2%) 순으로 나타나 50대 이상의 계층과 20대의 노동자들의 고용의 질이 다른 세대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이들 세대에서 비정규직 노동자의 수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

자료-통계청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연 브리핑에서 "노인 일자리 등 재정 일자리 확대, 고령화, 여성 경제활동인구 확대 등의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97만8000명(13.1%),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86만6000명(11.6%), 건설업 85만1000명(11.4%) 순으로 집계됐다.

비정규직 노동자가 급증한 탓에 정규직 노동자 수는 급감했다.

올해 8월 기준 정규직 노동자는 1307만8000명으로 1년 전에 비해 35만3000명 줄었다. 이는 비정규직 근로자가 급증한 데 따른 상대적 효과라고 정부는 설명했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비정규직 노동자 노동여건은 다소 개선     

다만 비정규직 노동자의 근로여건을 전년 동월과 비교해 보면 다소 나아진 것으로 보인다.

이들의 최근 3개월(6~8월)간 월평균 임금은 172만9000원으로 8만5000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제 근로자를 제외할 경우 231만4000원으로 13만원이 증가했다.

사회보험 가입률 중 건강보험(48.0%)은 2.1%포인트, 국민연금(37.9%)은 1.3%포인트 , 고용보험(44.9%)은 1.3%포인트 각각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김 차관은 "비정규직 근로자가 크게 늘었다고 말하기 어렵다"면서 "통계조사 방법상의 특이요인으로 35만∼50만명 늘어난 것을 제외하면 전체 취업자 증가 폭이 크게 늘어난 데 따른 증가분, 정부 일자리사업 확대 효과, 기타 제도 관행 개선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