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 14일까지 6개 시내면세점 입찰 실시
현대백화점만 '두타면세점' 입찰 관심 보여

한때 '황금알을 낳는 거위', '흥행수표' 등 성공세를 이끌었던 면세점 업계가 이제는 수익악화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이에 시내면세점 특허 사업권이 새로 풀렸지만, 이마저도 업계의 반응은 냉랭하다.

두산그룹이 두타면세점 사업권을 반납하면서, 새로운 주인이 누가될 지 관심이 주목된다.
두산그룹이 두타면세점 사업권을 반납하면서, 새로운 주인이 누가될 지 관심이 주목된다.

11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관세청은 이날부터 오는 14일까지 서울 3개·인천 1개·광주 1개·충남 1개 등 총 6개 시내면세점 특허에 대한 입찰을 실시한다. 

하지만 올해 입찰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 롯데와 신라, 신세계 등 이른바 '면세점 빅3' 모두 신규 입찰 불참을 예고한 것이다. 대기업집단 계열 기업 중에서는 지난해 11월 면세점 사업에 후발주자로 진출한 현대백화점면세점만 입찰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현재 현대백화점면세점은 두타면세점 자리에서 면세점을 운영하겠다는 내용을 담은 사업계획서를 제출할 계획으로 전해지고 있다. 두산그룹이 지난달 반납하는 두타면세점 사업을 현대백화점면세점이 바통을 이어 받겠다는 것이다.

사실 면세점 업계의 '흥행 실패'는 예고됐었다. 지난 2015년 치열한 경쟁 끝에 면세점 특허를 따낸 서울 시내면세점 중 2곳이 올해 연이어 폐업을 결정했기 때문이다. 한화갤러리아에 이어 두산이 면세점 특허를 반납한 것은 업계에서 '예고된 재앙'이었다는 의견까지 나오고 있다. 

면세점 사업은 지난 4년 전만 해도 인기를 얻었다. 관세청은 지난 2015년 서울(대기업 2개, 중소·중견기업 1개), 제주 1개 등 4개 시내면세점 신규 입찰을 공고했다. 이는 2000년 이후 15년 만에 입찰이었다.

당시에는 롯데와 신라·면세점은 물론 SK·한화·이랜드·현대백화점 등 7곳이 도전장을 내밀었다. 선정된 기업을 두고 특혜 시비까지 불붙을 정도였다. 

하지만 정부가 면세 사업권을 남발하면서 '실속'이 없어졌다. 서울 시내 면세점은 2015년 6개에서 13개로 증가했다. 또 한국면세점협회에 따르면, 전체 면세점 매출은 2016년 12조2757억원에서 지난해 18조9602억원으로 54% 증가했다. 반면 중소·중견 면세점 영업손실률은 2016년 4.9%에서 2017년 7.4%, 2018년 2.5%에 달하며 손실이 더욱 커지고 있다. 

여기에 2017년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사태로 인한 주요 고객 변화, 중국 보따리상(다이궁)을 유치하기 위한 송객수수료 인상 등으로 출혈경쟁이 심해지고 있다. 올 상반기 대기업 면세점의 송객수수료는 6369억원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할 정도다. 송객 수수료는 매출의 최대 40%에 달하는 수준이다.

이에 한 면세점 업계 관계자는 "면세점 사업은 초기 투자비용이 상당해 현재와 같은 상황에서 투자비용을 감당할 기업은 많지 않다"며 "현재 운영하고 있는 국내외 면세사업에 더욱 집중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