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영향, 실물자산 유동화 등 정책적 대응 필요

"고연령층 가계부채의 누증요인과 이에 따른 잠재리스크 점검이 필요합니다."

한국은행 금융안정국 김정호 차장이 10일 서울 중구의 부영태평빌딩에서 열린 한은 금요강좌에서 "우리나라의 금융안정 현안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인구고령화로 인한 고연령층의 자산·부채 보유행태 및 재무 건전성 변화가 뚜렷한 상황이며, 이로인해 금융시스템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고연령층 가계부채의 누증요인으로 고령화와 이들의 노후소득 확보를 위한 차입수요 증가를 꼽았다.

2017년 이후 규제 강화 등으로 모든 연령층의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됐지만, 60대 이상은 비교적 높은 증가세(9.9%)를 지속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60대 이상 대출비중도 2019년 3분기 기준 18.1%에 달했다는 것이다.

기대수명 연장 등으로 노후준비 필요성이 커진데 따른 임대부동산 투자 및 자영업 진출 등을 위한 차입수요가 지속되고 있다는 점도 원인이라고 했다.

특히 고연령층은 금융자산에 의한 채무대응능력이 떨어지는 데다 건전성 저하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 주의가 필요하며, 취약차주 수 및 대출규모도 계속 늘어나는 추세이기 때문에 잠재리스크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의 대응방안으로는 ▲부채구조의 질적 개선 및 리스크 관리 강화 ▲실물자산 유동화 제도의 활성화 ▲가계자산 구성 다양화 ▲채무상환 능력 제고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한국은행 금융안정국 김정호 차장은 "현재 우리나라 고연령층 가계부채가 높은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는 만큼 잠재리스크 점검과 이에 대한 지속적인 정책적 대응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