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00명 명퇴 예정…6년연속 당기순손실, 수주잔액 급감 등 원인

탈원전 정책으로 어려움을 겪던 두산중공업이 명예퇴직을 실시한다. 6년 연속 순손실을 기록한데다 수주가 감소하는 등 경영난을 겪고 있어 인력 구조개편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두산중공업은 18일 오후 사내게시판을 통해 '명예퇴직 시행 안내'를 공지했다.

명예퇴직 대상은 만 45세(1975년생) 이상 사무직과 기술직 등 모든 직원에 해당된다. 명예퇴직 신청 기한은 2월 20일부터 3월 4일까지로, 전체 정규직 직원 6000여명 가운데 2600명 정도가 대상자로 알려졌다.

두산중공업은 퇴직 대상자에게 법정 퇴직금 외에 근속연수에 따라 최대 24개월치 월급과 위로금 5000만원(20년차 이상)을 추가 지급한다. 또, 최대 4년간 자녀의 학자금, 경조사, 건강검진비용 등을 제공한다. 명예퇴직 희망자는 내부 심의와 승인을 거쳐 최종 확정된다.

이번 두산중공업 구조조정은 2014년 말 이후 5년여만이다. 당시 두산중공업은 창원 본사와 서울사무소에서 근무하는 52세 이상 사무직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실시해 약 200여명이 퇴직했다.

이번 두산중공업 구조조정 배경에는 핵심 수익원인 원자력 발전 사업이 무너진데 있다.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수주일감이 끊긴 탓이다.

최근 몇 년간 실적부진은 두산중공업만의 문제는 아니다. 세계 발전 시장 침체가 이어지면서 국내외 발전사들이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기후변화에 대응해 석탄 화력 발전을 축소하는 흐름에 따라 GE, 지멘스 등 주요 업체들도 앞서 구조조정에 나선 바 있다.

실제 두산중공업의 수주잔액은 지난 2018년 16조 4000억원에서 지난해 3‧4분기 14조 6000억원으로 하락했다. 정부가 2017년 탈원전 정책을 선언한 이후 일감이 끊긴 것이다.

원전 공장 가동률도 2017년 100%에서 지난해 50%까지 반도막 났다. 신한울 3·4호기 건설 취소에 따른 손실도 부담을 더하고 있다. 원전 주기기(원자로·증기발생기·터빈발전기) 제작에 투입된 비용만 해도 약 5000억 원. 투자금, 기자재 보관 비용까지 합치면 매몰비용은 더욱 크게 뛴다.

이에 두산중공업은 2014년 이래 6년 연속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지난해에도 주요 계열사의 실적 호조에 힘입어 매출액은 15조6597억원, 영업이익 1조769억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6.1%, 7.3% 증가했지만 1043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냈다.

회사는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일시적으로 유급휴직, 계열사 전출 등의 인력 효율화 작업을 진행하는 한편 업무효율화와 시너지 제고를 위한 조직도 개편했다. 풍력사업, 가스터빈 개발 등 신사업을 미래 먹거리로 육성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자구노력에도 현재 추진 중인 풍력사업, 가스터빈 개발 등 신사업이 본 궤도에 오르기 전까지 실적 부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돼 인력감축 키를 꺼내들었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수년간 세계 발전 시장 침체와 국내 시장의 불확실성 심화로 사업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이러한 사업 환경을 타개하기 위해 임원 감축, 유급순환휴직 등으로 고정비를 줄이는 등 재무구조개선 작업을 해 왔지만 인력구조 재편이 불가피한 상황에 이르렀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