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기관 4곳 포함, 신물질 발굴·치료영역 확대 등 R&D 박차

[일요경제 방석현 기자]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과 정부기관이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역량을 모으고 있다.

9일 제약바이오협회(회장 원희목, 이하 협회)에 따르면 국내 제약·바이오기업 15개사가 코로나19 예방 백신과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절차에 착수했거나 준비중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예방 백신의 경우 GC녹십자, SK바이오사이언스 등 기존에 독감백신 등 개발 역량을 갖고 있는 기업들을 중심으로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이들은 자체 백신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백신의 성공적인 개발에 따른 활발한 국내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치료제는 코로나19를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후보물질을 발굴하거나, 기존에 출시된 의약품 중 코로나19에 대한 효능 여부 검증 방식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뮨메드는 지난 2월 임상1상이 마무리된 인플루엔자 적응증 치료제 'HzVSFv13주'의 코로나19 환자 대상 치료목적사용임상시험을 승인받은 상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응급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치료목적사용임상시험을 승인해 주고 있다.

코미팜은 폐렴 유발 '싸이토카인(바이러스 침투시 분비되는 면역물질) 폭풍' 억제 신약물질 '파나픽스'의 임상 2·3상 시험계획서를 식약처에 제출한 상태이며, 젬백스는 항암제 '리아백스(GV1001)'의 싸이토카인 면역 폭풍 방지 효과 입증을 위한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

이밖에 카이노스메드는 길리어드의 코로나19 치료 후보물질 렘데시비르와 유사한 자체 연구 화합물의 항바이러스 효능을 검증할 예정이며, 유틸렉스는 면역항체를 활용한 코로나19 치료 신약 개발에 착수했다.

4곳 정부기관(국립보건연구원·과학기술정보통신부·화학연구원·생명공학연구원)도 자체적으로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돌입한 상태다. 정부기관과 연구소, 제약사 등이 힘을 결집하는 민관협력 모델 형태다.

국립보건연구원은 방역에 필요한 신속진단제와 백신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해 최근 8개 연구 과제를 공고했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 국내 다양한 연구기관과 협력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백신·치료제 개발이 단기간에 이뤄지기 어려운 만큼 기술적인 측면이나 허가 등 규제적 차원에서 이 같은 민·관 협력은 개발 속도를 크게 앞당기고 성공 가능성을 높일 전망이다.

협회는 이에 더해 유럽의 혁신 의약품 이니셔티브(IMI), 미국 국립보건원의 AMP(신약개발 촉진협력) 등 민·관 협력이 활발한 해외 사례를 벤치마킹, 백신·치료제 개발 시기를 앞당기는 동시에 개발 완료 가능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IMI는 유럽연합집행위와 유럽의약품산업협회(EFPIA) 회원사들이 공동 출자해 만든 것으로,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세계 최대의 민관협력 파트너십 사례로 꼽힌다. 학계·산업계·환자단체·규제 및 의료기술평가기관 등이 하나로 뭉쳐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이번 코로나19에 대해서도 4500만 유로(약 590억원)를 투자해 치료제·진단제품 등을 개발키로 했다.

또 감염병 억제와 백신 개발을 위한 국제 비영리단체인 전염병예방백신연합(CEPI)은 빌게이츠재단 등 비영리재단 뿐만 아니라 각국 정부의 후원을 받으며 세계 각국에서 4개의 코로나19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지난 10년 동안 대학, 출연연 등을 중심으로 코로나19 관련 R&D 과제에 368억원이 집행되는 등 정부가 지원하고, 산업계와 연구기관, 학계가 과제를 수행하는 민관협력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과감한 정부 지원을 비롯, 연구성과가 실제 제품 개발·출시로 이어지는 등 과제의 실효성을 높여가는 방향으로 민관 협력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원희목 회장은 "국가적 재난 상황에서 백신과 치료제의 신속한 개발 등 의약주권을 지키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면서 "제약·바이오산업계의 연구개발 역량에 정부의 지원이 뒷받침되는 민관협력을 바탕으로 위기 극복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