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부족 문제 등 해결 위한 표준 평가모델 구축 필요

[일요경제 방석현 기자] 사회적금융 중개업무 활성화를 위한 현행 사회적금융 중개기관 운영 방식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KDB산업은행 미래전략연구소 권혁성 연구원은 16일 '사회적금융 중개기관 현황 및 당면과제' 보고서를 통해 "사회적금융 중개업무 활성화를 위해선 사회적금융 중개기관의 운영 투명성 문제 및 사회적경제기업의 금융상품 정보 부족 문제 해결과 표준화된 평가모델 구축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국내 사회적 중개기관 현황, <자료:서민금융진흥원>

사회적금융은 대출, 투자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회적경제기업에 자금을 공급함으로써 사회적 가치 실현과 재무적 이익을 동시에 추구하는 금융을 뜻한다.

그는 현재 한국의 사회적금융 중개기관이 사회적금융의 자금 공급자(금융기관·민간투자자)와 수요자(사회적 경제기업)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했다.

하지만 법령의 적용을 받고 있는 일반 금융회사와는 달리 사회적금융 중개기관은 법령의 미비로 인해 운영 투명성 문제가 상존하고 있다는 것.

서민금융진흥원에 따르면 현재 국내 사회적금융 중개기관은 총 41개로 대출중심의 19개(사단법인·재단법인·주식회사·협동조합)와 투자 중심의 22개(재단법인·주식회사·자산운용사)로 구분된다. 대출 중심 기관은 금융지원, 성장지원, 교육 및 복지 지원을 하는 반면 투자 중심기관은 모태펀드, 사모펀드를 조성해 출자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권 연구원은 사회적금융 중개기관의 금융상품을 쉽게 탐색·선택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 마련도 필요하다고 했다. 이를 통해 정보비대칭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권혁성 연구원은 "사회적금융 중개기관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표준화·고도화된 평가모델 도입을 통해 자금지원 적정성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을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