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화 따른 변화 직면 "새 패러다임 대비해야"

금융연구원 주최로 23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코로나 위기 이후 금융산업의 디지털 대전환 포럼에서 이석호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발표하고 있다.

[일요경제 방석현 기자] 코로나19로 인한 패러다임 변화를 겪고 있는 보험사들의 대비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금융연구원 주최로 23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코로나 위기 이후 금융산업의 디지털 대전환 포럼에서 이석호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보험산업은 현재 빅테크 등에 의한 판매 플랫폼이 출현한 만큼 디지털화에 대응한 전략 방향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보험회사의 전속설계사(FC)는 디지털시대에 변화와 혁신의 효율적인 추진과 판매채널의 효율성 제고 과정에서 조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며, 설계사 내부로부터 가격 합리화 및 인하요인을 찾는 한편 판매경쟁력 제고 유도 전략이 필요하다고 했다.

특히 판매채널과 관련해 보험산업이 변화의 필요성을 외면한다면 판매플랫폼, P2P 보험 등에 밀려 그 존립자체가 위협받을 수 있다고 했다.

판매전문회사로 변신하고 있는 GA(독립보험대리점)의 경우, 다양한 부수사업을 도모할 것으로 예상했다. 불완전판매나 고아 계약을 양산하는 설계사 통제와 정예화된 설계사를 양성 및 육성하는 것이 유일한 생존·발전 전략이 될 수 있다는 견해다.

방카슈랑스는 은행의 플랫폼과 연계한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했다.

그는 현재 보험사들이 디지털화에 따른 조직구조 변화에도 직면해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프론트엔드, 미들오피스, 백오피스로 구분된 보험회사의 조직구조 가운데 가장 큰 변화가 예상되는 부분은 프론트엔드를 꼽았다.

프론트엔드는 소비자의 불만이 가장 큰 취약 지점인 판매와 보상 부문에서 디지털화의 역동성이 크며, 그만큼 관련 조직의 변화가 클것으로 전망했다. 판매플랫폼 등 다양한 판매채널의 활용이 가능한 보험회사들이 보험제조사로써 거듭날 가능성이 있으며, 영업조직도 영업기획 인력으로 최소화 될 수 있다는 것. 보상조직 부분에서도 대부분의 보상이 AI와 블록체인 등과 같은 첨단 IT기술을 통해 기존 보상조직의 대규모 축소가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했다.

미들오피스의 경우 상품개발, 언더라이팅(보험인수심사), 자산운용 등의 핵심기능 및 조직은 보험회사 본체에서 계속 유지될 것으로 전망, 관련 조직의 역할 및 규모의 변화도 상대적으로 적다고 했다. 다만 언더라이팅 조직은 AI활용 등으로 큰 영향을 받을것으로 내다봤다.

백오피스 분야는 효율성과 생산성 제고를 위해 다양한 ICT 기업으로 아웃소싱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