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신한·하나금융 등 3대 금융지주 회장 물꼬, 동참 분위기에 본래 취지 악용 우려

 

[일요경제=신관식 기자] 금융권 최고 수장들의 연봉 반납이 줄을 잇고 있다. KB·신한·하나금융 등 3대 금융지주 회장이 일자리 창출을 위해 물꼬를 튼 연봉 반납이 해당 계열사를 중심으로 금융가에 퍼지는 양상이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금융그룹은 계열사 사장과 임원들의 임금 반납 수준을 내부적으로 확정했다.

먼저 조용병 신한은행장이 한동우 그룹 회장과 동일한 30%의 임금을 반납하기로 했다.

카드·금융투자·생명보험·자산운용·캐피탈 등 신한금융 계열사 사장단의 반납 비율은 20%로 정해졌다.

또 기타 그룹사 사장과 부행장, 부사장들은 10%의 임금을 반납하기로 했다.

금융권에 임금 반납 바람이 불게 된 것은 신규채용을 통해 일자리 창출을 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졌다. 9월 급여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지난 3일 윤종규 KB, 한동우 신한,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이 나란히 30%의 연봉을 반납해 신규 채용 확대에 사용하겠다고 전격 발표한 이후 금융권에서 동참 움직임이 확산하는 양상이다.

▲ (왼쪽부터)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한동우 신한금융지주 회장,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 조용병 신한은행장

KB금융 산하 계열사 대표이사와 전무급 이상의 임원진도 연봉의 일정 수준을 반납할 예정이다.

김덕수 KB국민카드 사장을 포함한 11명의 계열사 대표이사는 연봉의 20%를, 전무급은 10%가량 반납할 것으로 알려졌다.

KB금융 관계자는 "9월 급여부터 적용하기 위해 금주 중으로 연봉 반납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안다"며 "30% 이하가 될 공산이 크다"고 말했다.

하나금융도 계열사 대표이사와 전무급 이상 임원들도 연봉의 일부를 반납할 계획이다. KB금융과 마찬가지로 10~20% 수준이다.

우리은행도 임금 반납에 따른 효과를 고려해 적용 범위와 수준을 검토하고 있다.

다른 금융지주사와 은행들도 계열사를 포함한 임원진의 임금 반납 수준을 조율하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경영진의 자율적으로 연봉을 반납해 청년 일자리 창출 재원을 마련한 것은 바람직한 일이지만 임금삭감이 임직원들까지 확산될 가능성이 어느때보다 높다는 것이다.

이런저런 이유로 자진반납에 동참하라는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어 연봉 자진반납 바람이 본래의 취지에서 벗어나 자칫 악용될 소지가 크다는 지적이다.

한편 박인규 DGB금융 회장, 성세환 BNK금융 회장, 김한 JB금융 회장 등 지방 금융지주 3사 CEO들도 지난 4일 각각 20% 수준으로 연봉 반납 대열에 합류하겠다고 선언했다.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