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7월3일 서울 중구 옛 서울역사에서 열린 '3.1 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출범식에서 격려사를 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7월3일 서울 중구 옛 서울역사에서 열린 '3.1 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출범식에서 격려사를 하고 있다

고려대 백주년기념관 국제원격회의실에서 ‘3·1운동 100년, 한국 사회전환의 시공간 지평’을 주제로 2~3일 학술대회가 열린다.

2일 대통령직속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에 따르면 한국·일본·중국 세 나라 학자 23명이 참여해 3·1운동의 역사적 의의를 재평가하고 그 동안의 연구 동향을 정리하는 자리다.

이날에는 ‘3·1운동을 둘러싼 외부 시선과 내부 시선의 교차’를 주제로 발표가 이어진다.

유선영 성공회대 교수는 3·1운동이 거리 시위의 ‘원형’이며 ‘시작’이고 ‘민중 항거에 의한 민주주의’ 역사의 시작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또 나카타 아키후미 일본 조치대 교수는 ‘3·1운동과 국제관계’ 논문을 발표하고, 리공중 중국 난징대 교수는 ‘거울로서의 이웃 나라: 현대 중국 민족주의 담론에 재현된 3·1운동’ 논문을 발표한다.

아키후미 교수는 3·1운동이 ‘일본의 조선통치 35년간 최대 사건’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리 교수는 3·1운동이 중국 5·4운동의 본보기와 전주곡의 역할을 수행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3일에는 ‘포스트 3·1운동’을 주제로 논의가 이어진다. 논의되는 내용은 △3·1운동 후 투옥된 여성 지식인 △3·1운동 이후 식민지 문학의 동향 △3·1운동 기념일이 역사화하는 과정 등이다.

위원회는 “이번 학술대회는 역사학·사회학·국제정치학·문학·신학 등 여러 전공자가 모여 학제적 연구를 넘어 초제적 접근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