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파주‧강원 고성 및 서울 용산‧동작‧마포구 등은 호재로 급상승
울산‧전북 군산‧경남 창원 등은 지역경기 침체 영향으로 크게 하락

2018년 연간 전국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자료-국토교통부)
2018년 연간 전국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자료-국토교통부)

지난해 전국 땅값이 4.58%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률은 세종, 서울, 부산 등의 순으로 높았다. 

반면 거래량은 전년보다 3.9% 줄어들었는데, 지역 경기 침체 영향으로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대부분이 감소했다.

24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작년 한해 전국 지가 상승률은 4.58%로 전년(3.88%) 대비 0.70%포인트 상승했다. 

작년의 땅값 상승률은 2006년 5.61%를 기록한 이후 12년 만에 최대치다.

월별 지가 상승률은 4월 0.33%에서 10월 0.46%까지 6개월 연속 높아졌으나 ‘9·13 부동산 대책’과 금리인상 등의 여파로 11월 0.42%로 내려앉은 뒤 12월에는 0.34%로 더 떨어졌다.

수도권은 땅값 상승폭이 전년 3.82%에서 5.14%로 확대됐으나 지방은 상승폭이 3.97%에서 3.65%로 오히려 줄었다.

시·도별로 보면 세종이 7.42%로 가장 많이 올랐고, 뒤이어 서울(6.11%), 부산(5.74%), 광주(5.26%), 대구(5.01%), 제주(4.99%) 순이었다.

세종은 ‘4·6 생활권 개발’과 ‘KTX 세종역 신설 여론 조성’ 등 교통망 개선 호재, 국가산업단지 유치 등으로 땅값이 많이 올랐다.

세종은 연간 상승률이 2014년부터 2016년까지는 4%대에 머물렀으나 2017년 7.02%로 뛴 이후 작년 소폭 더 올랐다.

수도권에서 서울은 전국 평균보다 변동률이 높아졌으나 경기(4.42%), 인천(3.59%)은 전국 평균을 하회했다.

시·군·구별로는 경기 파주시(9.53%), 강원 고성군(8.06%) 등 남북경협 수혜지역과 서울 용산구(8.60%)·동작구(8.12%)·마포구(8.11%) 등 개발호재 지역 중심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특히 파주 중에서도 군내면(124.14%), 장단면(109.90%), 진동면(86.68%)에서는 땅값이 크게 뛰었다.

반면 지역 산업 침체라는 악재를 악재를 겪고 있는 울산 동구(-3.03%), 전북 군산시(-1.92%), 경남 창원 성산구(-1.17%), 거제시(-0.65%), 창원 진해구(-0.34%) 등은 땅값이 내렸다.

전국 땅값은 용도지역별로는 주거(5.24%), 상업(4.38%), 계획관리(4.37%), 농림(4.06%), 녹지(3.75%), 생산관리(3.50%), 보전관리(3.01%) 등 순으로 상승했다.

이용상황별로는 주거용(5.16%), 상업용(4.66%), 전(4.18%), 답(4.00%), 임야(3.06%), 골프장·스키장 등 기타(3.01%), 공장용지(2.60%) 순으로 올랐다.

작년 전체 토지(건축물 부속토지 포함) 거래량은 약 318만6000필지(2천71.0㎢)로 서울 면적의 약 3.4배다.

전년(331만5000필지) 대비 3.9% 감소했으나 2016년(299만5000필지)에 비해서는 6.4% 증가했다. 수도권은 1.3% 증가했고 지방은 8.0% 하락했다.

대전(9.9%), 경기(6.3%), 광주(6.1%), 전북(6.0%), 전남(3.2%)은 늘었지만 부산(-22.1%), 경남(-21.3%), 울산(-18.6%) 등지는 감소했다.

건축물 부속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은 약 108만9000필지(1906.8㎢)로 전년 대비 6.2%, 2016년 대비 2.1% 줄었다. 세종(28.5%), 대전(12.3%), 광주(3.2%), 인천(2.9%) 순으로 증가했고, 부산(-24.4%), 울산(-21.3%), 제주(-16.5%) 등은 감소했다.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