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침체 위기 VS 정부 금융 안정화정책 기대감 UP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일요경제 이지현 기자] 코로나19로 인한 은행의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증권가에서 은행주에 상반된 입장을 내놓아 주목된다. 부동산 침체 위기가 은행위기로 확산될 수 있다는 시각과 정부의 금융시장 안정화 정책으로 인한 은행위기 극복 가능성에 대한 시각이 엇갈리고 있다. 

키움증권 서영수 연구원은 30일 산업 증시리포트에서 "코로나 19 영향으로 주택 거래 급감에 따른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고 있으며, 다주택자의 현금흐름 악화가 채무 불이행 증가로 이어져 은행에 위기를 가져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 연구원에 따르면 3월 아파트 거래량은 전 월 대비 절반 이하로 감소 됐다. 코로나19 이후 투기적 수요가 둔화된데다 지난 주 서울 아파트 가격도 하락 추세라는 것.

이는 가격 급등에 따른 가격 부담감이 커진데다, 신용대출, 전세자금대출, 임대사업자 대출 등 고위험 레버리지가 정부 규제, 은행의 대출태도 변경 등으로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서 연구원은 분석했다.

그는 이에 따라 다주택자의 현금흐름 악화가 불가피해 보인다고 했다. 폐업증가에 다른 공실률 상승, 세금 부담, 보증금으로 투자한 자산손실 증가로 원리금 상환이 어려워져 급매가 증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부동산 시장 침체에 따른 은행의 신용창출 능력 약화 우려감이 큰 상황이라고 그는 설명했다. 시장 침체로 경매시장의 낙찰가율이 하락해 은행의 대출 여력이 크게 줄어들 수 있다는 점이 그 근거다. 한국의 대출 시스템은 소득(DSR)과 원리금분할상환 중심이 아니라, 자산가격(LTV) 이자상환 중심이기 때문이다. 실물경제 악화보다 부동산 시장 침체 시 은행위기(Banking Crisis) 발생 가능성이 높다. 

이같은 부동산위기가 은행위기로 확산되지 않기 위해선 가격 부양책보다 거래량 감소를 차단하는 것이 필요하며, 시장 기능을 유지한 정책도 필요하다고 했다.

서영수 연구원은 "주택 매입후 임대(Sales & lease back) 확대 등 거래 활성화를 유도해 한계 채무자의 채무 구조조정을 적극 지원하는 정책이 유효할 것"이라며 "정부 정책이 구조재편 중심으로 수정되는 시점에 은행업 비중 확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하나금융투자증권 최정욱 연구원은 정부의 금융시장 안정화 정책에 따른 실물자금 공급 확대로 은행위기가 극복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최 연구원에 따르면 금융시스템 붕괴 가능성 등 공포감이 극대화된 수치가 이미 확인된 만큼 주가가 바닥을 친 상태라는 것. 현재 정부의 금융시장 안정화를 위한 정책적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에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도 직전 저점이 깨질 가능성은 낮아졌다고 했다.

최정욱 연구원은 "유가가 반등하고, 원 달러 환율이 하락 전환하는 등 금융시장이 진정 분위기에 돌입하자 은행주가 큰폭으로 급등하기 시작했다"며 "한국은행이 RP(환매조건부증권) 무제한 매입에 나서면서 국채시장이 안정된 모습을 보인 점과 유동성 위기를 겪는 두산중공업에 국책은행들이 1조원 긴급대출을 결정한 점도 주가 상승에 일조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