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립대 교통공학과 이동민 교수

서울시립대 교통공학과 이동민 교수
서울시립대 교통공학과 이동민 교수

[일요경제 방석현 기자] 기존 교통체계와 스마트 기기의 첨단 기능이 융합되면서 지능화되고, 스마트화된 미래 교통서비스인 스마트모빌리티가 각광받고 있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사람과 물류 이동을 위해 ICT(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교통수단과 인프라 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교통서비스 이용자의 선호도 등에 기반한 맞춤화된 교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모빌리티의 기반이 되는 E모빌리티(초소형전기차)를 위한 인프라 및 주행여건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서울시립대 교통공학과 이동민 교수를 만나 이야기를 들어봤다.

스마트모빌리티가 각광받고 있는데, 현 트렌드에 대해 이야기해 달라 
일반적으로 전동퀵보드와 같은 개인형 이동수단 등을 스마트모빌리티로 지칭하기도 하지만 최근 ICT기술을 접목한 첨단 교통수단과 서비스에 대한 지칭으로 변화하고 있다.
정리해보면 기존의 첨단교통체계에 비해 혁신적인 기술과 철학이 결합된 새로운 패러다임의 교통체계라고 할 수 있다. 자동화와 전기화가 통합된 교통체계를 기반으로 공유화되고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며, 빅데이터와 초고속통신기술 등의 첨단 ICT 혁신 기술 기반의 교통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안전을 증진하고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교통 서비스 제공과 사람들을 연결하고 포용적 성장이 가능한 교통 서비스 및 교통 기반 경제 개발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4차산업혁명 시대에 따른 모빌리티의 발전방향은
미래교통서비스체계에서 E모빌리티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교통이 어떻게 바뀔것이냐, 교통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에게 사람들은 무엇을 요구할 것이냐의 문제로 귀결되는 만큼 실질적인 4차산업혁명시대에 무엇을 준비해야할 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본다. 최근 다양한 모빌리티들을 소유하지 않고 공유 및 구독서비스로 이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통합된 디지털플랫폼에서 검색부터 예약, 결제 서비스까지 확장되고 있다.

더 쉽게 얘기해 달라
MaaS(Mobility As A Service)라는 개념으로 이해해 볼 수 있겠는데 모든 이동수단이 연계될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현재 E모빌리티를 통해 구현되고 있다. 선호도와 여건에 맞게 수단을 골라 쓸 수 있다는 점에서 맞춤형 이동수단으로 정의할 수 있다.
스마트모빌리티는 결국 승용차, 자전거, 전동 휠 등 개인교통수단과 버스, 철도, 비행기 등의 대중교통수단을 비롯해, 택시, 공유차, 렌트카 등 모든 운송수단의 서비스화를 표방하고 있다.

자율주행시대도 곧 도래할 것으로 보는데 어떤 변화를 예상하는지
차량의 소유개념 변화 및 전기차 확대보급에 따른 자율주행 미니버스 운영, 비좁은 생활권 도로의 안전 향상 등에 대한 문제가 선결돼야한다. 현재의 자동차 내연기관도 전기 동력 체계로 바뀌어야 하는 만큼 기반은 E모빌리티가 될 것으로 본다.
E모빌리티는 먼저 단지 내 통행을 담당할 수 있다. 대학캠퍼스나 연구센터와 같이 단지 내부의 건물을 옮겨다닐일이 잦고 동시에 단지의 면적 규모가 큰 경우 보행이동자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 현재 공원내 레저 통행과 지역관광투어와 연계한 통행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으며, 물류서비스체계 개선도 이룰 수 있다.

미래 도시의 모습은 어떻게 상상할 수 있는가
현재 세종시에서 구현되고 있는 스마트시티가 선례가 될 수 있다. 승용차는 단지의 외곽으로만 주행 가능하고, 그 틈새를 퍼스널모빌리티가 채워 주기 때문의 획기적인 이동수단의 변화를 기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선 새로운 개념의 모빌리티 인프라 조성은 물론, 교통서비스의 다양화·맞춤화를 위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일반 승용차와 다른 특성을 고려한 E모빌리티의 서비스체계 마련도 필요하다고 본다. 관련 법제도 개선과 스마트모빌리티 활성화를 위한 정부와 민간의 활발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