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신흥국, 통화 스왑 및 금융협력 확대 투트랙 필요
정영식 선임연구위원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대비해야”

금융연구원 주최로 11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미 대선 이후 글로벌 경제 리스크와 미중무역마찰’ 세미나에서 전문가들이 토론하고 있다.(사진-방석현 기자)
금융연구원 주최로 11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미 대선 이후 글로벌 경제 리스크와 미중무역마찰’ 세미나에서 전문가들이 토론하고 있다.(사진-방석현 기자)

[일요경제 방석현 기자] 미국 46대 대통령에 당선된 바이든 정부의 출범으로 금융규제 강화에 따른 국내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증폭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금융연구원 주최로 11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미 대선 이후 글로벌 경제의 리스크와 미중무역마찰’ 세미나에서 정영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증세, 친환경 및 청정투자와 금융규제 강화를 주장하고 있는 바이든 행정부 출범에 따라 국내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증폭될 가능성이 있다”며 “바이든의 금융기관 리스크억제로 인해 금융자산의 움직임도 축소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정 선임연구위원은 바이든 당선으로 미국의 금융규제 강화가 예상되는 만큼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로인해 한국의 금융시장이 과열될 경우, 외환파생상품포지션 비율규제, 외환건전성부담금제도, 외화유동성 규제 등을 탄력적으로 운영해야 한다는 것이다.

선진국과의 통화스왑(currency swaps·약정환율거래)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내년 3월 미국과 스위스의 통화스왑 만기를 앞두고 있어 이에 대한 재연장이 필요하며, 유로존, 영국 등과는 신규로 통화스왑을 체결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신흥국과의 금융 및 보건분야 협력 확대도 제안했다. 한국의 금융위기 경험과 극복 노하우, 선진화된 금융 인프라 및 시스템을 통해 신흥국과 적극적으로 협력할 필요가 있다는 것.

송두한 NH금융연구소장은 “기초경제 여건과 자산시장 간 괴리가 확대되는 미국의 버블경제가 조정국면에 진입할 경우, 글로벌 금융리스크로 진화될 가능성이 있다”며 “이 생멸주기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과는 무관한 금융리스크가 될것”이라고 말했다.

통합에서 분열로 글로벌 교역환경이 악화되고 있는데 따라 보호무역이 글로벌 교역표준으로 정착되고 있다는 점도 불안요소라고 했다. 미중 무역분쟁이 기술패권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는 미국과 중국의 금융패권 경쟁으로 이어져 혼란이 가중될 수 있다는 견해다.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