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칼 "가처분 인용되면 아시아나항공 인수 무산"
KCGI "산업은행, 사법부 협박 및 국민들에게 불안감 조성"
이동걸 산은 회장"딜 무산시 아시아나항공 파산 불가피...거취 고민"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일요경제 김사선 기자]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놓고 대한항공, 강성부 펀드(KCGI), 산업은행 등 삼자가 치열한 장외 공방전을 펼치면서 M&A가 순조롭게 진행될 지 관심이 쏠린다.

26일 항공업계와 금융권에 따르면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가 달린 법원의 신주발행금지 가처분 판결을 앞두고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기 위한 여론몰이가 뜨겁다.

서울지방법원이 25일부터 진행중인 ‘한진칼 신주발행금지 가처분’ 심문을 앞두고 조원태 회장과 KCGI는 치열한 공방전을 벌였다. 조 회장은 법원이 해당 가처분을 인용할 경우 국내 항공산업이 붕괴될 수 있다는 우려를 드러냈다.

또 이동걸 산은 회장은 아시아나항공 M&A가 무산시 긴급자금 투입이 불가능해 아시아나항공의 연내 파산을 피할 수 없다고 우려하며 합병 실패시 거취문제까지 거론했다.

한진칼은 이날 오후 열리는 ‘한진칼 신주발행금지 가처분’ 심문을 앞둔 오전 입장문을 통해 “가처분이 인용되면 아시아나항공 인수는 무산된다”며 “산업은행과 한진칼의 계약에 포함된 ‘한진칼의 유상증자 성공’은 대한항공의 아시아나 인수의 제1선행조건으로 가처분이 인용되면 해당 유증이 막히고 인수는 원천적으로 불가능해진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 경우 신용등급 하락 및 각종 채무의 연쇄적 기한이익 상실, 자본잠식으로 인한 관리종목 지정, 면허 취소로 이어질 수 있다”며 “심각할 경우 대규모 실업사태까지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한진칼의 이같은 주장에 대해 KCGI는 같은 날 오후 1시 경 정면으로 반박했다. KCGI는 “조 회장과 산은이 국내 항공산업 붕괴와 일자리를 인질로 사법부와 국민을 협박해서 안되며, 겸허하고 진지하게 사법부의 판단을 기다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국책은행이 불합리한 조건으로 아시아나항공의 인수를 강요하면서 혈세를 동원하며 경영권 분쟁 중인 한진칼에 지분투자, 기존 주주들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도 모자라 이제는 사법부를 협박하고 국민들에게 불안감을 조성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동걸 산은 회장(사진)이 대한-아시아나 통합 과정에서 불거진 조원태 회장에게 특혜를 주고 있다는 의혹에 이어 통합 무산시 파산을 피할 수 없다는 발언으로 논란의 중심에 섰다.

이 회장은 전날 한 언론과 인터뷰에서 “딜이 무산되면 아시아나항공에 대한 긴급자금 투입이 무산된다. 연내 파산을 피할 수 없다. 항공산업 전체가 붕괴된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19일 이 회장은 “코로나19 직격탄으로 글로벌 항공운수산업이 붕괴 위기에 처했고 이대로 가면 우리 국적 항공사도 공멸한다”며 “한때 빅2 경쟁이 유리하다는 얘기도 있었지만 이제는 양사를 합쳐서 경쟁력 높이는 것만이 우리 항공운송업이 살아남는 길”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또 이 회장은 법원이 가처분신청 인용 결정을 내릴다면 “회장직에 계속 있을 자격이 있는지도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이동걸 KDB산업은행 회장이 법원을 압박하기 위한 의도적인 발언으로 해석했다.

아시아나항공 노동조합과 아시아나항공조종사노동조합이 이동걸 KDB산업은행 회장의 파산 언급에 대해 협박성 발언이라고 비판했다.

아시아나항공 노조와 아시아나항공조종사 노조는 25일 성명서를 내고 "이동걸 회장은 매각이 되지 않으면 파산해야 한다는 협박을 하고 있다"며 "아시아나항공을 대한항공에 매각하는 것은 정부의 항공산업 정책 실패를 덮어 보려는 꼼수"라고 지적했다.

이어 "아시아나항공은 이율 7.5%에 3년 내 상환하는 조건으로 기업안정자금을 지원받아 연 1천600억원의 이자를 지급하고 있다"며 "이제는 기업안정자금을 중단시켜 파산시키겠다고 협박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와 관련 산업은행은 이 회장의 항공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항공산업 재편하겠다는 발언의 진의가 왜곡됐다면서도 곤혹스러워 하고 있다.

산은 관계자는 “아시아나항공이 파산할 수 있다는 이 회장의 발언은 이번 딜에 따라 연말에 투입하려던 자금이 지원되지 않으면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수 있고 시장성 차입금의 상환 트리거가 발동할 경우 신용등급 하향도 예상되는 등 그만큼 위태롭다는 것을 강조하려는 취지”라고 해명했다. 항공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항공산업이 재편해야 한다는 측면을 강조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