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금융산업 개방 확대, 日은 국제금융센터 육성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일요경제 방석현 기자] 중국과 일본의 글로벌 금융허브 육성 경쟁이 뜨거워지고 있다. 홍콩이 국가보안법으로 인해 글로벌 금융허브로써의 지위를 상실해 가고 있는 만큼 한국도 글로벌 금융허브로 성장할 수 있는 범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8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최근 중국 정부는 미중 통상마찰에 따른 교역 위축 상황에도 은행, 증권, 보험 등 자국 금융산업에 대한 외국자본 진입 규제를 지속적으로 완화하고 있다.

올해 외국 금융회사들은 중국의 증권회사, 뮤추얼펀드, 생명보험회사, 선물중개회사 등 여타 금융업종에 대한 전액 출자가 점진적으로 허용된 상태다.

세부적으로 Citigroup·Societe Generale(증권사), Alianz(생보사), JP Morgan(선물중개회사) 등이 100% 현지법인 설립 인가를 받고 중국에 진출해 있다.

특히 중국 정부가 홍콩 증시와 상장주식 간 교차거래를 뜻하는 후강통을 비롯, 선강통(상해 ·선전 주식 교차 거래), 후룬통(상해·런던 주식 교차 거래), 채권통(중국·홍콩 채권 교차 거래) 등 다양한 투자 채널을 조성하면서 이들 주식 및 채권이 잇따라 세계 주요지수에 편입되고, 외국 자본의 본토 유입도 확대되고 있다.

중국인민은행은 올해 9월말 중국 본토 주식 및 채권 시장으로 유입된 자본 총액이 8000억 달러(876조)를 상회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일본도 해외 금융사업자와 고급인력 유치에 적극적이다. 아시아를 대표하는 국제금융도시였던 홍콩의 특별행정구 지위를 빼앗는 국가보안법 시행으로 인한 정국 불안으로 탈 홍콩 금융기업들의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일본정부는 자국내 국제금융센터 육성을 추진하고 있다. 1900조엔(2경 98조)에 이르는 가계 금융자산이 투자대상인 기업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자금 흐름을 통해 경제성장에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한편, 기업가치 제고와 가계의 금융소득 증대를 기대하고 있다.

특히 △해외 금융사업자의 진입장벽 완화 △세제혜택 △인력 체류 요건 완화 등을 통해 이를 구체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 일본에 진출하는 해외 금융사업자는 등록신청 등의 절차 진행을 종전 일본어에서 영어로 할 수 있으며, 해외 고급 인력에 대한 세제 혜택과 체류 요건 등이 완화될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한국도 글로벌 금융허브가 되기 위한 범 정부 차원의 지원 및 육성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은 “부산은 부산국제금융센터 개발을 통한 금융기반 조성, 1차 금융공공기관 이전, 디지털금융 허브 센터인 구축 등 글로벌 금융중심지로서의 토대를 갖춰가고 있다”며 “부산이 글로벌 금융허브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선 역량 있는 국내외 금융기관 유치와 더불어 KDB산업은행, IBK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한국투자공사는 물론 한국벤처투자 등의 본사들이 부산으로 이전해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다연 FEI금융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은 “홍콩이 국가보안법으로 인해 글로벌 금융허브로써의 지위를 상실해 나가고 있는데 따라 한국의 금융 허브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경제 금융 특구 육성 등 선택과 집중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