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들, 남양유업 불매운동 목소리 거세
업계 "소비자 반응 예의주시...대응책 마련할 것"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일요경제 김한나 기자] 남양유업을 둘러싼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최근 남양유업이 불가리스가 코로나19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발표하면서 주가 부양 의혹으로 뭇매를 맞은데 이어 소비자 불매운동으로 논란이 번지고 있다.

19일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 등에는 남양유업을 향한 불매운동 목소리가 쏟아지고 있다. 남양유업이 코로나19를 이용한 과대 마케팅으로 소비자를 기만하고, 자사 제품을 홍보하는데만 급급했다는 것이다. 

한 네티즌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독과점 업계도 아니고 왜 자꾸 이런 실수를 하는지...대체할 수 있는 기업이 너무 많아서 불매 난이도 0인데"라며 "이제 남양꺼 안사고 안먹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다른 커뮤니티에서도 "남양이 남양했구나", "참 못믿을 기업이네. 갑질부터 마약까지 이번엔 대국민 사기극", "일본기업들이 하는 잘못된 관행을 따라하고 있다", "무슨 60~70년대 약장수 같다", "유럽에 오리지널 요구르트도 효과가 있다는 소리가 없는데 어디 가짜요구르트가 설치냐?" 등의 비난글이 잇따랐다.

남양유업은 지난 13일 한국의과학연구원이 주최한 심포지엄에서 "불가리스에 인플루엔자(독감) 바이러스를 99.999% 사멸시키고 코로나19 바이러스를 77.8%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고 발표했다. 이후 남양유업의 주가가 급등하고 일부 대형마트에서는 불가리스 품절 현상이 빚어졌다. 그러나 인체 임상시험을 거치지 않은 세포실험 연구 결과라는 사실이 알려지며 역풍을 맞았다.

남양유업 주가는 발표 당일 10% 이상 급등해 52주 고점(48만9000원)을 찍었다가 38만원으로, 다음날에는 5.13% 내린 36만500원으로 마감했다. 한국거래소는 연구결과 발표 전후로 주가가 폭등한 것과 관련해 자본시장법 위반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 연구결과 발표가 있던 13일부터 14일 사이 개인 투자자들은 60억원 넘게 남양 주식을 사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거래소는 남양유업이 검증되지 않은 부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소비자들에게 혼란을 준 불공정거래에 해당하는지, 연구결과 발표 전 임직원들이 미공개로 주식을 매매한 정황이 있었는지 등을 확인 중이다. 금융감독원은 거래소 조사가 마무리된 이후 추가 조사 여부나 고발 여부를 결정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는 남양유업을 식품표시광고법 위반 혐의로 15일 고발 조치했다. 이에 남양유업은 “인체 임상실험을 거치지 않아 (불가리스의) 효과를 단정지을 수 없음에도 소비자의 오해를 불러일으킨 점에 대해 죄송하다”고 사과했지만 여론의 반응은 싸늘하기만 하다.

남양유업의 불매운동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13년 본사 직원이 대리점에 폭언을 하고 강매를 한 정황이 드러나면서 소비자들 사이에 불매운동이 일었다. 당시 공정거래위원회는 남양유업에 과징금을 부과했고, 남양유업은 부당함을 호소하며 공정위를 상대로 소송을 걸었다. 남양유업 매출은 불매운동의 여파로 2012년 1조3650억원에서 지난해 9489억원으로 30.5% 감소했다.

지난해에는 홍보대행사를 통해 경쟁사 유제품을 비판하는 글을 온라인 커뮤니티에 게재한 것으로 알려지며 경쟁사 비방 의혹에 휩싸이기도 했다. 창업주 외손녀인 황하나씨의 마약 투약 논란도 기업 이미지를 실추시키며 국내 유업계 1위 자리를 내주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러한 전과가 반복되면서 온라인 상의 남양유업 불매운동도 점점 거세지는 모양새다. 일부 네티즌은 코로나19 백신 대신 불가리스를 접종하는 합성 이미지를 제작해 공유하기도 했다.

남양유업은 이번에 불가리스 코로나19 마케팅으로 또다시 위기에 직면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사태에 대해 심포지엄이 내부적으로 어떠한 제재도 없이 급박하게 진행됐다는 점에 의구심을 표하고 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항바이러스면역연구소는 남양유업이 지난 3월 발족한 산하 연구소로, 한달여 만에 발효유의 항바이러스 효과를 증명한 셈이다. 바이러스 연구가 이르면 수개월에서 길면 수십 년까지 걸리는 점을 고려할 때 납득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동종업계 한 관계자는 "발효유 식품의 프로바이스틱스 연구는 보통 5년 이상의 오랜 시간이 필요한데, 벌써 연구 발표를 하기엔 조금 이른 감이 있다"며 "인지도 제고나 신뢰도를 갖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업계는 소비자들의 반응을 지켜보면서 불매운동이 확산될 경우를 예의주시해 향후 대응책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