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바이오사이언스-노바백스, 독감까지 막는 ‘차세대 백신’ 개발도 포함

한미 양국은 지난 22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 윌러드 인터콘티넨털 호텔에서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행사를 열고 양해각서(MOU) 4건을 체결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모더나 백신 위탁생산 △한국 정부-모더나 한국 내 시설투자 및 인력채용 △정부-SK바이오사이언스-노바백스 독감 결합 백신 등 개발과 생산 △국립보건연구원-모더나 mRNA 백신 협력 등이다.(사진=연합뉴스)
한미 양국은 지난 22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 윌러드 인터콘티넨털 호텔에서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행사를 열고 양해각서(MOU) 4건을 체결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모더나 백신 위탁생산 △한국 정부-모더나 한국 내 시설투자 및 인력채용 △정부-SK바이오사이언스-노바백스 독감 결합 백신 등 개발과 생산 △국립보건연구원-모더나 mRNA 백신 협력 등이다.(사진=연합뉴스)

[일요경제 이규복 기자] 이달 초 증권가에 돌던 소문이 현실화 됐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모더나가 체결한 코로나19 백신 위탁생산이 올해 3분기부터 본격화될 예정이다. 아울러 SK바이오사이언스는 노바백스와 협력해 독감까지 막는 ‘차세대 백신’ 개발에 나선다.

강도태 보건복지부 2차관은 23일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모더나사는 코로나19 백신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했다”며 “코로나19 백신 원액을 완재 충전해 전세계에 공급하는 방식으로 위탁 생산 규모는 수억 도스며, 시험생산 등을 거쳐 올해 3분기부터 대량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성과는 문재인 대통령이 미국 워싱턴을 방문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나눈 뒤 이뤄진 것으로 문 대통령의 방미 최대 성과로 주목 받고 있다.

한국과 미국이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백신의 생산은 물론 연구 및 임상시험도 진행한다. 여기에 변이 바이러스에 효과가 높고 독감까지 막는 이른바 ‘차세대 백신’ 개발도 추진된다.

미국이 정부 차원에서 다른 나라와 백신 파트너십을 체결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한미 양국은 지난 22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 윌러드 인터콘티넨털 호텔에서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행사를 열고 양해각서(MOU) 4건을 체결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모더나 백신 위탁생산 △한국 정부-모더나 한국 내 시설투자 및 인력채용 △정부-SK바이오사이언스-노바백스 독감 결합 백신 등 개발과 생산 △국립보건연구원-모더나 mRNA 백신 협력 등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모더나 백신의 원액을 들여와 국내에서 무균 충전, 라벨링, 포장 등을 거쳐 최종 완제품을 생산한다. 양사는 8월경부터 미국 이외 지역에 공급하는 백신 수억 회분을 생산할 예정이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지난 23일 KBS와의 인터뷰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위탁생산으로 생산 기반을 갖추면 국내에 공급하기로 된 모더나 물량 공급이 좀 더 빨라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스테판 방셀 모더나 최고경영자(CEO)는 같은 날 SBS와의 인터뷰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에 (mRNA) 기술을 이전할 것”이라며 “잠재적으로는 모더나 백신 생산 공장을 한국에 짓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미 기술이전 계약을 맺은 SK바이오사이언스와 노바백스는 앞으로 코로나19와 독감에 동시 대응할 수 있는 ‘결합백신’ 개발에 협력한다.

한미 양국은 조만간 과학자,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전문가 그룹’을 구성해 이번 협약을 실무 지원하기로 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21일(현지 시간) 한미 정상회담 종료 후 “(이번 파트너십 체결이) 인도태평양 지역의 백신 공급에 더 많은 기여를 하게 되리라고 생각한다”며 “그 과정에서 우리 한국도 백신의 안정적인 확보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내가 문 대통령의 발언을 좋아하는 것은 단순히 미국이나 한국만 얘기하는 게 아니라 인도태평양, 세계에 대해 얘기하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미국이 인도태평양 지역을 포함한 전세계에 백신을 공급하는 생산기지로 한국을 활용하겠다는 의중을 드러낸 것이다. 이를 통해 인도태평양 등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중국의 ‘백신 외교’를 견제하려는 의도도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