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경제 민다예 기자] 정부가 완성차업체 중고차 시장 진출을 허용하면서 중고차 시장에 지각변동이 일고 있다. 기존 중고차업계는 대기업 독과점으로 인한 영세업자 몰락이 우려된다며 반발하고 있지만 소비자들은 허위·미끼 매물 감소로 시장 신뢰도가 높아지고 중고차 선택폭이 넓어지는 등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며 환영하는 분위기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달 17일 ‘중고차판매업 생계형 적합업종 심의위원회’를 열고 중고차 판매업을 생계형 적합 업종으로 지정하지 않기로 최종 결정했다.

이 같은 결정이 나오기까지는 3년이라는 긴 시간이 걸렸다. 중고차 매매업은 지난 2013년 동반성장위원회에서 중소기업적합업종으로 지정돼 대기업의 신규 진입과 확장을 금지했다. 2019년 동반성장위의 중소기업적합업종 제한 기간이 끝나면서 대기업 중고차 시장 진출 허용 근거를 마련했지만 양 업계 간 갈등으로 인해 합의안 도출이 쉽지 않았다. 하지만 이번 결정으로 2019년 중고차 매매업계 생계형 적합업종 재지정 신청 후 3년간 끌어온 중고차 시장 개방 논란이 드디어 종지부를 찍게 됐다.

현대차그룹은 일찌감치 중고차 시장 진출을 준비해왔다. 최근 발표한 중고차 사업 계획을 통해 수입차 브랜드에만 허용됐던 '인증 중고차 사업' 진출을 공식화했다. '인증 중고차 전용 하이테크센트'를 설립해 정밀진단, 정비를 전담할 '상품화 조직'을 꾸리고, 자체 검수를 거쳐 신차 못지않은 중고차를 시장에 내놓는다는 계획이다.

중고차 판매 기준은 구입 후 5년, 주행 거리 10만㎞ 미만, 200여개 항목 품질 테스트 통과 차량 등으로 한정했다. '고품질' 중고차만 취급해 기존 매매업자들과 차별화하기 위한 것도 있지만, 시장점유율 자체 제안 등을 통한 상생도 염두에 둔 방안이다.

한국GM과 르노코리아, 쌍용차 등도 구체적인 중고차 시장 진출 계획을 모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완성차 업계뿐만 아니라 롯데렌탈 등 렌탈 대기업까지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롯데렌탈은 올 하반기 중고차 기업과 소비자간 거래(B2C) 시장 진출을 공식화 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한 서비스를 선보이기로 했다.

소비자단체는 즉각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중고차 시장 대표적 문제로 꼽혔던 정보 비대칭성이 해소돼 소비자 선택권이 늘어난다는 이유에서다. 소비자들 역시 중고차 가격이 오르더라도 기업이 품질을 인증하면 감수하겠단 반응이 주를 이룬다.

소비자단체는 “중고차 시장 개방 결정으로 중고차에 대한 투명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업이 등장할 수 있고, 소비자들은 차량 성능 정보나 가격 정보를 편리하게 얻을 수 있다"며 "결론을 기다려온 소비자들은 환영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반면 중고차 업계는 국내 중고차 시장은 영세업체 위주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현재 국내 중고차 업체 수는 6000여개, 종사자만 5만5000여명에 달한다. 대부분 영세업체로 이뤄져있기 때문에 대기업 진입은 시장의 큰 변화를 끼칠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중고차 매매상들은 대기업들이 시장을 잠식해서 수십만 명이 일자리를 잃게 되는 것은 물론 매물 가격이 비싸져서 소비자들도 좋을 게 없다며 반발하고 나섰지만 소비자들 반응은 싸늘하기만 하다.

기존 중고차 업계 ‘약자 보호’ 프레임이 더 이상 통하지 않게 된 것은 ‘자업자득’ 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허위매물과 허위딜러, 원하지 않는 상품 강매 등 기존 중고차 업계의 불법 행위로 소비자들 신뢰를 잃었기 때문이다.

중고차 시장은 대표적인 ‘레몬마켓(저급품만 취급되는 시장’으로 불릴 정도로 품질이 떨어지고 허위 매물이 많아 소비자들의 부정적 인식이 만연해왔다. 이런 상황에서 대기업의 시장 진출 소식을 반기지 않을 소비자는 없다.

중고차 업계는 ‘골목 상권 보호’ 논리로 생계형 지정 요구를 주장하기 전에 소비자 신뢰 회복이 우선이다. 

소비자들은 현명하다. 무조건 대기업 중고차 매물만 고집하지는 않을 것이다. 물건을 살 때도 다양한 채널을 고려하는 것처럼 소비자들은 합리적인 가격에 믿을만한 물건을 살 수 있으면 그만이다. 대기업 진출로 중고차 시장 규모는 더욱 커져 살아남기 위해 경쟁력 제고는 불가피하다. 이대로 소비자들의 신뢰를 회복하지 못하면 중고차업계 생존은 어렵다.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