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또 금리 인하 …KB·우리·카뱅 최대 0.7%p↓
상반기 신규 채용 지난해보다 50% 규모 늘려
추가 사회공헌 방안 마련나서
은행 경영 전반에 걸쳐 자율성 침해...관치금융 논란 확산

(사진=일요경제 DB)
(사진=일요경제 DB)

[일요경제 김사선 기자] 은행들이 정부와 여론의 '돈 잔치' 비판에 가산금리를 줄이고 우대금리를 늘리면서 대출금리를 인하하고 대규모 채용 계획 및 사회공헌 프로젝트를 추가로 선보인다.

이는 '돈 잔치' 비판에 은행권이 부랴부랴 사회공헌 대책을 내놨지만, 오히려 '지원규모 부풀리기' 논란만 커지자 대다수 금융소비자가 혜택을 체감할 수 있는 방안으로 선회한 것이란 분석이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이날부터 주택담보대출 신잔액코픽스 기준 6개월 변동금리에 0.45%포인트(이하 p), 주택담보대출 5년 변동금리에 0.20%p의 우대금리를 거래실적과 관계없이 적용했다.

이는 일종의 금리 인하 조치다. 실적에 관계없이 우대금리를 새롭게 적용함에 따라 소비자 입장에서는 해당 수치만큼 금리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그 결과 신잔액코픽스 6개월 변동금리는 5.91∼6.71에서 5.46∼6.26%로, 5년 변동금리는 5.24∼6.24%에서 5.04∼6.04%로 낮아졌다.

인터넷은행 카카오뱅크도 이날부터 신용대출과 마이너스통장대출의 금리를 최대 0.70%포인트 인하했다.

이에 따라 카카오뱅크 신용대출, 마이너스통장대출 상품의 최저금리는 모두 4%대(연 4.286%·4.547%)로 내려왔다.

아울러 카카오뱅크는 신용대출과 마이너스통장대출의 최대한도도 각 기존 2억5천만원, 2억원에서 3억원, 2억4천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금리 인상기에 고객의 이자 부담을 덜고 금융 혜택을 늘리기 위해 금리를 인하하고 한도는 늘렸다"며 "앞으로도 경쟁력 있는 금리와 편의성을 바탕으로 포용금융을 실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KB국민은행은 오는 28일부터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 금리를 최대 0.55%포인트(p) 낮추기로 결정했다.

세부 상품별로는 KB주택담보대출 금리(신잔액코픽스 기준)가 최대 0.35%포인트, KB주택전세자금대출·KB전세금안심대출·KB플러스전세자금대출의 금리는 최대 0.55%포인트 인하된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지난해 12월 말 가계대출 금리를 최대 0.75%포인트 낮췄고, 올해 1월에도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의 금리를 각 최대 1.05%포인트, 1.30%포인트 인하했다"며 "그러나 고금리로 여전히 금융소비자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만큼, 실효성 있는 지원책으로서 불과 3개월 사이 세 번째 인하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NH농협은행도 아직 시기, 인하폭 등 구체적으로 정해지진 않았지만 금리인하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은행권은 금리인하에 이어 대규모 채용계획도 내놓았다. 올해 상반기 중 전년 동기(1546명) 대비 48.0%(742명) 증가한 2288명을 신규채용 할 예정이다. 올해 연간으로는 약 3700명 규모로 지난해 전체 채용규모보다 약 600여명 증가한 수치다. 최근 희망퇴직 진행 등의 영향으로 은행권의 신규채용 여력이 확대됐다는 설명이다.

업체별로 살펴봤을 때 가장 많은 인원 채용에 나서는 것은 NH농협은행이다. 농협은행은 올해 2월과 5월에 걸쳐 총 500명을 신규채용한다는 계획이다.

신한은행, KB국민은행, 우리은행은 오는 4월 각각 250명의 신규채용을 진행할 예정이다. 하나은행의 경우 지난 1월 250명을 신규채용했다. 또 카카오뱅크는 이달(2월)부터 6월까지 148명을 신규채용한다. 이외 은행들의 경우 10~90명 규모의 신규채용 계획을 가지고 있거나, 이미 신규채용을 했다.

또한 은행권은 10조원 규모의 사회 환원책을 발표했다가 역풍을 맞자 추가 카드 마련에 고심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은행연합회는 지난 15일 향후 3년간 10조원 이상의 은행 사회공헌 프로젝트 추진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이중 대부분이 보증 배수 효과를 통한 대출 증가액으로, 은행들이 실제로 투입하는 돈은 7800억원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부풀리기 논란’에 휩싸이며 부정적인 여론만 확산됐다.

이에 금융당국의 압박도 더 거세졌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은행권이 해당 프로젝트를 내놓자 ‘3년 후 금 송아지가 중요한 게 아니라 지금 당장 우리 손에 물 한 모금을 달라는 니즈가 있는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이는 당장 소비자들이 실질적인 혜택을 체감할 수 있는 방안을 요구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이 원장은 최근 임원회의를 통해 “은행이 사회적 역할을 소홀히 한다면 국민과 시장으로부터 외면받을 수밖에 없다는 위기의식을 갖고 생색내기식 노력이 아닌 더 실질적이고 실제 체감할 수 있는 과감한 지원이 필요하다”며 사회공헌에 대한 대대적인 점검을 예고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최근 ‘돈잔치’ 논란이 확산되면서 은행권에 대한 금융당국과 국민들의 시선이 곱지 않은 것은 잘 알고 있다”며 “고객이 혜택을 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지난해부터 취약 차주를 중심으로 만기 연장, 이자 감면 및 유예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가동하고 있다”며 “이를 더 확대하면 도덕적 해이 논란이 불거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은행권 안팎에선 정부의 과도한 개입을 비판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민간회사의 인사, 배당정책, 성과급, 사회공헌 활동 등 은행 경영 전반에 걸쳐 정부가 앞장서서 자율성을 침해하는 것은 시장경제 논리와는 상반된 일"이라며 “정부가 나서서 민간 기업인 은행 경영에 과도하게 간섭하면 관치금융 논란을 촉발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