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업 및 법정관리 건설사 속출
올해 폐업 신고한 종합건설사 139곳 달해

위 사진은 기사와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사진-픽사베이)
위 사진은 기사와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사진-픽사베이)

[일요경제 이현주 기자] 건설업계가 부동산 시장 침체와 자금 경색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폐업이나 법정관리에 들어가는 건설사들이 속출하면서 줄도산 공포가 확산하고 있다.

17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대창기업은 지난 7일 서울회생법원에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대창기업은 1953년 세워져 설립 71년 차를 맞았다. 지난해 시공능력평가(시평) 109위의 중견 건설사로 아파트 브랜드 ‘줌’(ZOOM)으로 알려졌다.

대창기업은 지난해부터 공사 미수금과 유동부채가 크게 늘면서 재무 건전성이 크게 악화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견 건설사들의 회생 신청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급격한 금리인상과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 원자재 가격 인상, 미분양 증가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지난 2월에는 시평 83위인 대우조선해양건설이 법원으로부터 회생절차 개시 결정을 받았다. 아울러 지난달에는 시평 133위이자 범현대가 정대선씨가 최대주주인 HN Inc(에이치엔아이엔씨)가 법정관리를 신청하기도 했다.

대우조선해양건설은 자체 사업이 부진해 지난해에만 247억원의 영업 손실을 기록했다. 에이치엔아이엔씨는 최근 강원 속초에서 초고급 주택단지 분양에 나섰지만 214가구 중 119가구가 미달하며 부담이 커졌다. 

자금여력이 약한 지방 중소건설사는 상황이 더 심각하다. 지난해 중소 건설사 중 우석건설(시평 202위)과 동원건설산업(시평 388위) 등이 부도 처리되면서 건설업계 위기감이 가시화됐다.

국토교통부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폐업을 신고한 종합건설사는 이날 기준 139곳에 달한다. 이는 지난해 동기 87곳 대비 59.7% 증가한 수치다. 전문공사업까지 합치면 그 수치는 더 늘어난다. 이날 기준 폐업이 신고된 종합건설사 및 전문건설사는 총 1086건으로, 전년 동기 919건보다 18.17% 늘었다

당분간 지방 건설사 폐업은 이어질 전망이다. 한국은행이 지난달 발표한 ‘3월 금융안정상황’에 따르면 지방소재 중소건설사 중 16.7%가 한계기업으로, 대기업(9.4%), 수도권 중소기업(13.4%)에 비해 월등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한계기업은 3년 연속 영업이익이 이자비용에도 못 미칠 정도로 수익성, 재무구조가 좋지 않은 기업을 뜻한다.

더군다나 이른바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도 지방을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자금이 부족한 지방 건설사의 경우, 줄도산 행렬이 더욱 가속화 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미분양 물건 대다수가 지방에 쏠려 있는 상황으로 인해 지방 건설사들은 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있다”며 “정부가 각종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수도권으로 수요가 몰리면서 수도권과 지방의 양극화는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지난 2월 13.4%(1008가구) 증가한 8554가구로 조사됐다. 지난 2021년 7월 8558가구 이후 19개월 만에 최대 규모를 기록한 것이다.

이에 중견·중소 건설사들로 구성된 대한주택건설협회는 최근 위축지역 지정과 인센티브를 통해 미분양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의견을 국토교통부에 전달했다.

주건협 관계자는 "규제완화 정책효과가 수도권에 쏠려 정작 미분양이 집중된 지방 주택시장 위기 해소에는 미흡하다"며 "위축지역 지정과 인센티브 부과로 부동산 침체에 따른 리스크가 지역경제 전반에 확산하지 않도록 맞춤형 대응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부동산 전문가는 건설사들의 폐업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건설업황이 좋지 않은 상황이지만, 국내시장에서 건설업체의 수가 많은 것도 사실”이라며 “일부 업체가 폐업하더라도 그것을 건설산업의 위기나 붕괴로 연결하기는 불충분하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