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창구 모습. (사진=연합뉴스)
은행 창구 모습. (사진=연합뉴스)

[일요경제 김사선 기자] 은행 등 금융사 임직원들의 횡령 사건이 이어지면서 올해에만 횡령액이 600억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1010억원에 이어 역대 두번째 규모이다.

3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양정숙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7월까지 금융사 임직원의 횡령 사건은 경남은행을 포함해 11개사, 33건에 총 592억7300만원이었다.

이는 우리은행 직원의 700억원대 횡령으로 금융권 전체 횡령액이 1010억원을 기록했던 지난해에 이어 가장 많은 액수다.

은행별로는 올해 560억원이 넘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횡령 사고가 발생한 경남은행의 횡령액이 가장 많았다. 경남은행은 올해 이 직원의 횡령 외에 횡령 사건이 1건 더 있는 것으로 확인됐으나 횡령액은 100만원 미만 소액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남은행에 이어 신한은행이 올해 들어 7월까지 횡령액 7억1700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이어 △농업협동조합(6억1300만원) △신협조합(4억3900만원) △IBK기업은행(3억2200만원) △OK저축은행(2억5100만원) △KB국민은행(2억2300만원) △NH농협은행(1억8천500만원) △코레이트자산운용(1억6000만원) △우리은행(9100만원) △하나은행(7200만원) 순이었다.

2017년부터 올해 7월까지 금융사 임직원의 횡령액은 총 2204억원에 달했다.

금융사 임직원의 횡령액은 2017년 144억7500만원, 2018년 112억8400만원, 2019년 131억6300만원, 2020년 177억3800만원을 기록한 뒤 2021년 34억800만원으로 급감했다. 하지만 지난해 우리은행 직원의 횡령으로 1010억7200만원이라는 역대 최대 횡령액을 기록했다.

금감원은 우리은행 직원의 거액 횡령 사건을 계기로 지난해 11월 국내은행 내부통제 혁신 방안을 내놓았다. 장기 근무자에 대한 인사 관리 기준을 강화하고 명령 휴가 대상자에 동일 부서 장기 근무자, 동일 직무 2년 이상 근무자도 포함하기로 했다.

하지만 문제의 경남은행 직원이 유사한 부서에서 장기간 근무하면서 거액을 횡령해 금감원의 지침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은행 등 금융사들에 순환근무와 명령 휴가제 등 내부통제 혁신 방안이 제대로 운영되는지 파악할 예정이다.

금감원은 지난해 우리은행에 이어 이번 경남은행 직원의 횡령 또한 PF 대출에서 발생했다는 점을 주목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금융사의 PF 대출 영업 업무와 자금 송금 업무의 분리 여부, 지정 계좌 송금제, 자금 인출 요청서 위변조 대책이 제대로 이뤄지는지도 점검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