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이익은 40조6553억원, 전년비 1.9%↑...비이자이익 48.0% 늘어 10조원대
기업ㆍ가계는 연체율 급등...작년말 4대 은행 대출 연체율 전년比 0.05%p↑
‘다중채무자’ 450만명 돌파...작년 3분기말 연체율 1.5% 4년만에 최대

은행 대출 창구. (사진=연합뉴스)
은행 대출 창구. (사진=연합뉴스)

[일요경제 김사선 기자] 고금리가 장기화되면서 지난해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금융지주의 이자 이익이 역대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업과 가계의 대출 이자 부담은 눈덩이처럼 늘어나 기업과 가계는 한계상황으로 내몰리면서 연체율은 1년 사이 크게 올랐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의 지난해 연간 연결 당기순이익은 총 14조9682억원을 기록했다. 1년 전보다 4.5% 감소한 수치다. 이는 은행권 민생금융지원 방안 동참, 대손충당금 전입액 확대 등으로 순이익이 줄었다는 평가다.

다만 핵심 수익원인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은 모두 증가했다.

지난해 4대 금융지주의 총 이자이익은 40조6553억원으로 1년 전보다 1.9% 늘었다. 이자이익이 40조원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가계대출과 기업대출이 증가하는 가운데 고금리 장기화의 직접적인 수혜를 본 영향으로 풀이된다

비이자이익도 총 10조5187억원으로 무려 48% 급증했다. 수수료 구조를 변경하고 주식 투자 등에서 과거 손실을 만회했기 때문이다.

금융지주들이 고금리에 따른 반사이익을 누리는 동안 은행권에서 돈을 빌린 대출자들의 이자부담이 가중되면서 연체율이 급증하고 있다.

은행권에 따르면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대출 연체율은 지난 2022년 말 평균 0.20%에서 지난해 말 평균 0.25%로 0.05%포인트(p) 상승했다.

국민은행은 0.16%에서 0.22%로, 신한은행은 0.21%에서 0.26%로, 하나은행은 0.20%에서 0.26%로, 우리은행은 0.22%에서 0.26%로 일제히 연체율이 상승했다.

같은 기간 4대 은행의 중소기업 연체율은 평균 0.24%에서 0.29%로 올랐다.

특히 대부분 은행에서 건설업이 가장 연체율이 높은 업종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년 동안 건설업 연체율은 신한은행이 0.34%에서 0.79%로, 하나은행은 0.17%에서 0.33%로, 우리은행은 0.26%에서 0.39%로 각각 올라갔다. 국민은행만 0.28%에서 0.27%로 소폭 하락했다.

중소기업 중 건설업 연체율은 더 높다. 지난해 말 기준 신한은행이 0.92%, 하나은행이 0.66%, 우리은행이 0.55%에 달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0.46%로 2019년 11월 0.48%를 기록한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내은행의 신규 연체채권 규모도 2021년 11월 9000억원에서 지난해 11월 2조7000억원으로 3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 국내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연체율과 신용대출 연체율은 각각 0.11%에서 0.25%, 0.36%에서 0.76%로 두배 이상 높아졌다.

서민과 중·저신용자가 많이 찾는 저축은행의 연체율은 더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국내 79개 저축은행의 지난해 3분기 연체율은 6.15%를 기록했다. 2022년 말 3.41%와 비교하면 2.74%포인트 치솟았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4.74%에서 5.40%로 뛰었다.

특히 금융사 3곳 이상에서 동시에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가 450만명을 돌파한데다 연체율도 4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은이 최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다중채무자 가계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현재 국내 가계대출 다중채무자는 450만명으로 집계됐다.

다중채무자는 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받은 차주로 고금리에 가장 취약한 만큼 한은·금융당국의 집중 감시·관리 대상이다.

450만명은 직전 분기(2023년 2분기 448만명)보다 2만명 늘어난 역대 최다 기록이다. 다중채무자가 전체 가계대출자(1983만명)에서 차지하는 비중(22.7%)도 사상 최대 수준이다.

단순히 다중채무자 수만 증가한 것이 아니라 여러 지표상 이들의 상환 능력도 한계점에 다다랐다. 대출 한도와 높은 금리 등으로 추가 대출을 통한 돌려막기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다중채무자의 평균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지난해 3분기 말 현재 1.5%로 추산됐다. 2019년 3분기(1.5%)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다중채무자들이 한 해 동안 갚아야 하는 원리금 상환액을 연소득으로 나눈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58.4%에 달한다. 이는 소득의 약 60%를 원리금 상환에 써야 한다는 의미다.

DSR이 70% 안팎이면 최소 생계비 정도를 제외한 대부분의 소득으로 원리금을 갚아야 하는 상황으로 간주한다. 상당수 다중채무자의 형편이 한계(70%) 상황에 내몰리고 있는 것이다.

다중채무자의 26.2%(118만명)는 DSR이 70%를 넘었고 14.2%(64만명)는 100%를 웃돌았다. 아예 갚아야 할 원리금이 소득보다 많다는 의미다.

전체 가계대출자로 대상을 넓히면 DSR이 70%를 넘은 차주는 279만명(14.0%·70∼100% 117만명+100% 이상 162만명)에 이른다.

다중채무자 가운데 소득과 신용도까지 낮은 대출자들의 상환 부담은 더 위험한 수준이다.

저소득(소득 하위 30%) 또는 저신용(신용점수 664점 이하) 상태인 다중채무자를 '취약 차주'로 분류하는데 지난해 3분기 말 현재 이들은 전체 가계대출자 가운데 6.5%를 차지했다.

직전 분기(6.4%)보다 0.1%포인트 늘어 비중이 2020년 3분기(6.5%) 이후 3년 만에 최대 기록을 세웠다.

3분기 말 현재 취약 차주의 평균 DSR은 63.6%였고 취약 차주 가운데 35.5%(46만명)의 DSR이 70% 이상이었다. 이들의 대출은 전체 취약 차주 대출액의 65.8%(63조4000억원)를 차지했다.

한은은 “취약차주의 가계대출 연체율이 가파르게 상승하는 등 한국경제 ‘약한 고리’의 건전성이 낮아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금융지주들은 올해 대출 부실화 등을 대비하고 건전성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지난해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규모를 크게 확대했다.

4대 금융지주의 지난해 연간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총 8조9931억원으로 전년보다 73.7% 증가했다.

KB금융이 3조1464억원으로 70.3%, 신한금융이 2조2512억원으로 70.8%, 하나금융이 1조7148억원으로 41.1%, 우리금융이 1조8807억원으로 112.4% 각각 추가 적립하며 대응에 나서고 있다.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