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공행진을 이어가던 수도권 집값 상승세가 최근 주춤하고 있는 모습이다. 이를 두고 단기적 현상일지, 집값 하락 신호일지 시장 참여자들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더욱이 내년은 대선을 앞두고 있는 상황이어서 불확실성이 그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다. 시장, 학계 등 부동산 전문가들과 릴레이 인터뷰를 통해 현재 부동산 시장을 진단하고 내년 상황을 전망해 본다. <편집자 주>

김성환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사진-이현주 기자)
김성환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사진-이현주 기자)

[일요경제 이현주 기자] “내년 전국의 주택 매매가격은 2.0%, 전세가격은 6.5% 각각 상승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김성환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지난 14일 서울 강남구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서 진행한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수도권과 지방이 각각 3.0%, 1.0% 올라 전국적으로 2.0%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올해 상승률 전망치 9.6% 대비 7.6%p 감소한 수치다.

김 부연구위원은 “종합부동산세를 포함한 보유세 문제, 금리 인상 가능성, 오랜 기간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부담감 등이 맞물려 올해만큼은 오르지 않겠지만 집값이 떨어지면 잡아야겠다는 수요도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 만큼 집값은 상승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김 부연구위원은 전셋값은 계약갱신청구권에 따른 계약기간인 4년(2+2년)이 끝난 물량들이 내년 8월 이후부터 시장에 나오면서 올해 6.8%와 비슷한 수준인 6.5%로 오를 것으로 예측했다.

그는 "현재 기존 계약분과 신규 계약분의 괴리가 커 지수상 나타나지 않지만 전셋값 상승 폭이 크다"며 "내년 8월 이후 계약갱신청구권을 소진한 물량이 시장가에 거래되면서 올해와 비슷한 수준의 상승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내년 집값 상승이 두드러지게 나타날 곳으로 똘똘한 한 채 수요가 높은 지역들을 꼽았다. 서울에서는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양천구, 영등포구 등에 있는 아파트가 보통 똘똘한 한 채로 평가된다. 경기도에서는 수용성(수원·용인·성남), 하남, 안양 등 서울과 가까운 지역에 있는 주택이 똘똘한 한 채로 평가된다.

김 부연구위원은 “다주택자 규제 영향에 대출 규제까지 더해지고 최근 부과된 종합부동산세의 충격과 금리 인상 가능성 등으로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똘똘한 한 채 수요가 높은 지역들의 가격 상승이 두드러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차기정부에선 부동산 시장 안정화를 위해 △양도세 등 거래세 완화 △대안주거 활성화 등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그는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이 많지 않기 때문에 거래세를 완화해 기존 주택이 시장에 매물로 나올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오피스텔, 도시형생활주택, 생활숙박시설, 지식산업센터 내 기숙사 등 대안주거 상품 공급을 활성화해 쌓여 있는 주택 수요가 어느 정도 해소될 수 있게 하는 돌파구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내년 전국 아파트 입주 예상물량은 30만 9183가구다. 올해 28만 4058가구보다 2만 5125가구(8.8%) 증가했지만 지난해 36만 1623가구와 비교하면 여전히 물량이 적은 편이다. 

특히 수요가 많은 서울과 경기 지역은 올해보다도 입주 예상물량이 적어 공급 부족 문제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서울은 내년 2만 520가구에 그쳐 올해(3만 1835가구)보다 1만가구 넘게 입주 물량이 감소한다. 경기는 올해 11만 3607가구에서 내년 10만 7042가구로 줄어든다.

김 부연구위원은 마지막으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에 공약에 대해선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진단했다.

그는 “두 후보 모두 250만 가구를 공급한다고 했는데 최근에 1년간 50만 가구 이상을 공급한 경우가 없었다”며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일요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